버블 소설Y
조은오 지음 / 창비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Y 클럽 11기 스폐셜 서평단으로 《버블》을 만나보았다. 창비의 흥미롭고 재미난 형식의 서평단 활동인 소설 Y 클럽은 가제본으로 이루어지는데 책의 모습이 대본집 형태를 가질 때도 있고 작품을 쓴 작가를 알려주니 않을 때도 있다. 이번에 만난 《버블》은 작가를 공개하지 않았다. 물론 지금은 조은오 작가의 첫 장편 소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시작은 마치 누군지도 모르는 이로부터 편지를 받은 설렘이었다. 실제로 정성스러운 저자의 편지도 함께 읽을 수 있어서 특별함을 더했다.


첫 문장 '거리에서는 서로 2미터씩 떨어져서 걷는다.'에서 '격리'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 만나는 격리는 개인의 건강이나 정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위한 것이다. 오로지 공동체의 이익만을 위한 격리가 버블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의 존재보다는 공동체에 제공하는 기능이 중요했다.(p.77)' 특히 성인이 되면 자신의 일을 찾고 가족들과 헤어져 자신의 버블 속에 매몰되어야 한다. 또한 눈을 감고 타인을 만나야 한다. '관계'를 철저하게 끊어버려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열여덟 살 07에게 그런 버블 속 생활이 만족스러울 리 없다. 작업자 번호 07은 '외곽'을 통제하는 '중앙'의 편안한 삶을 버리고 타인의 눈을 보며 감정을 나눌 수 있는 외각의 삶을 선택한다. 그런 선택의 중심에는 평가자 126이 있다. 07에게 힘들지만 자유가 있는 외곽의 삶을 소개한 126과 07의 로맨스가 커갈 때쯤 07이 제한구역의 정체를 알게 된다. 정말 상상할 수 없는 커다란 비밀이 버블 속에 감춰져있었다. 통제와 관계를 넘은 섬뜩한 비밀.


버블 속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외곽을 선택한 21명의 예비 주민들은 관계를 이어가는 데 가장 중요한 대화하는 법부터 배우게 된다. 눈을 감고 타인을 접했던 이들은 상대방의 표정을, 감정을 읽는 법을 책으로 배운다. 07과 친한 95,60 그리고 평가자 126의 이름은 무엇일까? 우리는 첫 만남에 서로의 이름을 알려준다. 하지만 이들에게는 이름을 알려주는 것은 '신뢰'가 바탕이 된 중요한 일이다. 이들의 이름은 '우정'이라는 관계가 성립되고 나서 알 수 있다. 작가의 이름만큼이나 이들의 이름도 궁금했다. 그리고 서로의 이름을 알았을 때 이야기는 대반전을 향해 간다.


인간은 누구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그런데 눈 감고 버블 속에서 생활하며 서로의 눈도 보지 못하고 단절된 세상에 살아간다면 07의 선택을 응원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07의 두 번째 선택은 또 다른 생각에 빠져들게 한다. 나라면 쉽게 결정하기 어려울 듯하다. 어느 쪽 삶이 진정한 '나'로 살수 있는 삶일까?



"창비로부터 가제본을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