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백휴 지음 / 나비클럽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은 언제 읽어도 흥미롭고 재미나다. 그래서 편안하게 접할 수 있는 소설문학 중 하나인듯하다. 그래서일까? 추리소설은 주변부 문학, 순문학이 아닌 '잡문학', 오락에 불과한 읽을거리'라는 우리 사회의 폄하를 받으며 성장한 소설 장르이다. 그런데 굳이 소설을 장르별로 디테일하게 나눌 필요가 있을까? 중식, 한식, 일식처럼 시詩, 소설小說, 수필 essay로 크게 나누고 즐기면 되는 것 아닐까? 짧은 소견에 가르침을 주듯 《추리소설로 철학하기》에서 백휴는 추리소설과 철학을 엮어서 문학을 이야기하고, 국내외 유명 소설가의 대표작들을 소개하며 그 속에서 철학을 끄집어내 깊은 철학과 문학의 세계로 우리를 끌어들인다.

《추리소설로 철학하기》는 제목부터 흥미로웠다. 가장 재미나게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추리소설과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심연의 어둠을 보여주는 철학이 만나면 어떻게 될까? 물론 일본의 추리소설 흐름에 '사회파'가 있다고는 하지만 굳이 추리소설에 철학을 담아야 할까? 밀실에 갇힌 수수께끼를 풀고 범인만 잡으면 되는 것 아닐까? 가끔 반전을 보여주면서. 그런데 철학을 전공한 추리소설가이자 추리문학 평론가인 백휴가 잡문학으로 폄하되어 온 추리소설에 문학적인 위상을 찾아주려고 나섰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이 책《추리소설로 철학하기》인듯하다.


p.50. 애거사 크리스티의 기본 정서는 노스탤지어 nostalgia다. 누가 뭐래도 마음이 과거라는 콩밭에 가 있는 것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문학계와 철학계를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익히 알고 있는 작가들, 작품들 이야기를 만날 때는 반가웠고, 그들의 생각을 철학적, 문학적인 해석으로 만날 수 있다는 즐거움도 있다. 추리문학의 시작으로 알려진 에드거 앨런 포를 시작으로 추리소설하면 떠오르는 애거사 크리스티, 우리나라에 엄청난 팬을 가진 일본 추리소설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 그리고 정유정 등 많은 작가들이 서양의 철학가들과 '짝'을 맞춰 등장한다. '신은 죽었다'라는 말로 서양 철학을 새롭게 시작하게 한 니체의 짝은 누구일까? 칸트와 조르조 아감벤의 짝은 누구일까?

모든 챕터가 흥미롭고 재미나다. 거기에 '주석'이 들려주는 이야기도 흥미롭다. 주석이 단어의 뜻을 풀어낸 정도를 넘어 생각을 담고 있어 또 다른 읽을거리를 준다. 짝으로 등장하는 문학가와 철학가의 생각을 만나보며 읽어본 작품을 추억하는 즐거움을 주는 책이다. 철학적인 분석이 유지하는 묵직한 흐름도 색다른 즐거움을 준다. 많은 철학가와 소설가들과의 만남이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마지막 챕터의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한 여정이었던 듯하다. 긴 여정을 함께했지만 그 질문에 쉽게 답을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p.405. 모더니즘의 정신은 무엇보다 '시간의 공간화'에서 비롯되었다.


《추리소설로 철학하기》는 쉽게 만날 수 있는 책은 아니다. 하지만 쉽게 헤어질 수 있는 책도 아니다. 2024년은 이 책과 함께 시작과 끝을 함께 할지도 모르겠다. 일단 시작은 함께한다. 조금씩, 천천히 한 챕터씩 자세하게 들여다보려고 한다. 문학과 철학을 촘촘하게 분석하면 어떨지 궁금하다면 주저할 필요가 없다. 묵직함이 주는 특별한 재미와 흥미를 느껴보길 바란다.



"나비클럽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