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집 -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의 비사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민족에게 가장 아프고 슬픈 시간이 있다면 흔히들 말하는 '잃어버린 30년' 일제강점기일 것이다. 잃어버린 아니 잊고 싶은 30년은 우리 민족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놓았고 갑자기 밀려든 서구 사상들은 검증할 시간도 역량도 없었던 우리 민족은 국제적인 '피해자'가 되었고 500년이라는 엄청난 역사를 가진 조선이라는 왕조도 피해자가 되었다. 대한 제국의 허울뿐인 황제는 자신의 황실을 챙길 여력이 없었고 그렇게 황실의 가족들도 피해자가 되었다. 《잃어버린 집》은 그 피해자들 가운데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의 삶을 그리고 있다.


그런데 유독 의지 없는 유약한 인물로 그려지던 영왕 이 은의 모습이 조금은 낯선 모습으로 등장한다. 베스트셀러 『덕혜옹주』권비영 작가가 이번에도 엄청난 그림을 그려낸 듯하다.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아니 어쩌면 그렇게 생각할 역사적 근거가 부족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작가 권비영은 이 소설《잃어버린 집》을 통해서 글로 보이는 그림보다는 마음으로 그릴 수 있는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p.9. "고생하였다. 힘든 세상 살아내느라 고생하였다."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이 은의 삶을 일본의 정치쇼에 이용된 나약한 황태자가 아닌 깊은 고뇌에 빠져 국가와 국민을 생각했던 군주로서의 모습으로 그리고 있다. 역사를 접하는 재미중 하나가 역사는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점이다. 특별한 이야기를 담은 만큼 이야기를 들려주는 화자들도 특별하다. 이 은의 아들 이 구 그리고 아내 마사코를 비롯해서 아주 특별한 이들을 통해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어서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키고 있다.


첫 문장(나는 죽었다. 이미 오래전에.)부터 시선을 고정시키는 흥미로운 문장으로 시작한《잃어버린 집》은 한국과 일본 어느 쪽에서도 환영받지 못했던 마지막 황제 가족들의 비통한 삶을 보여주고 있다. '아버지의 나라는 해방이 되었으나 어머니의 나라는 패망하였다.'라는 문장이 이들 가족의 상황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궁궐에 살았었지만 해방된 아버지의 나라에서는 이제 궁궐은 자신들의 집이 아니고 멋진 저택에 살았었지만 어머니 나라의 그 저택도 자신들의 집이 아니다. 어느 곳으로도 돌아갈 수 없는 조국 잃은 국민들과 같은 처지에 처했던 이들에게 어떤 일들이 벌어지게 될까? 이 구의 삶에 비하면 그래도 이 은의 삶은 조금은 덜 비극적이다. 이 구의 아내 줄리아의 삶에 비하면 이 구의 삶은 행복한 삶처럼 느껴진다.


p.308. 사랑은 캄캄한 어둠 속에서 빛을 찾아 헤매는 일이다. 어둠 속에서는 제대로 볼 수 없다. 빛을 찾지 못하면 어둠 속을 헤맬 수밖에 없다. 어둠 속에서는 작은 빛이라도 아름답다.


다양한 모습의 삶 속에서 진정한 삶의 의미를, 사랑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멋진 작품이다.



"특별한서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