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보다 Vol. 1 얼음 SF 보다 1
곽재식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Science Fiction) 단편소설 여섯 편을 담은 을 가제본으로 만나보았다. 과학적 사실이나 이론을 바탕으로 멋진 작품들을 만들어온 작가 여섯 명이 '얼음'이라는 공통된 소재로 이야기를 만들었다는 점이 책을 접하기 전부터 흥미로웠다. 얼음과 과학 그리고 미래가 이어지는 부분이 무엇일까? 제일 먼저 연상된 것은 '빙하기'이다. 여섯 명의 작가(곽재식,구병모,남유하,박문영,연여름,천선란)들은 얼음을 어떻게 조각해 놓았을까?


일단 빙하기의 도래를 배경으로 한 작품도 있었고, 냉동인간을 이야기한 작품도 있었다. 그런데 시간을 입혀 시간을 정지하는, 시간을 얼려버리는 괴생명체를 등장시킨 작품도 있어서 흥미로웠다. 워낙에 신선한 스토리와 뛰어난 구성 능력을 가진 작가들의 작품들이어서 재미나게 얼음을 찾아다닐 수 있었다. 미래를 이야기하고 초현실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지만 그 속에서 우리는 오늘의 슬픔과 아픔을 만날 수 있다. 재미와 흥미로 잘 포장된 삶의 의미를 만날 수 있는 책이다.


「얼어붙은 이야기」에 등장하는 머리에 다섯 개의 뿔을 가진 괴생명체(생사귀)는 교통사고 현장에서 시간을 멈춘다. 그러고는 주인공에게 살고 싶으냐고 묻는다. 이 녀석이 좀 이상하다. 인간의 생명에 관여하려면 인간에 대해 조금은 알고 나타나야 하지 않을까? 죽음의 순간 살고 싶지 않은 인간이 있을까? 그런데 생사귀의 설명을 들으면 질문해야만 할 것 같다. 어쩌면 이 질문은 자신의 삶을 허비하는 모든 이들에게 던지는 질문 같았다.


「채빙」은 세상에 빙하가 모두 녹아 대부분 물에 잠긴 미래의 지구 이야기이다. 냉동기술의 발달로 냉동되었던 인간들이 대부분 소실되었는데 높은 얼음산 정상에 냉동인간의 캡슐이 발견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펼쳐내고 있다. 냉동인간을 신처럼 모시는 먼 미래의 인류와 캡슐 속 냉동인간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흥미롭다. 특히 의식만 있는 냉동인간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살아있다는 것에 대한 정의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얼음을 씹다」에는 빙하기가 도래한 미래에 인류가 걱정해야 할 가장 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식량. 엄청난 추위도 문제지만 먹을 것이 없는 세상은 인간의 모습을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바꾸어 놓았다. 남유하 작가의 「양꼬치의 기쁨」을 읽어보았기에 조금은 덜 부담스러웠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이야기이다. 미래의 지구에 닥칠 재앙이 이 모습이 아니길 바랄 뿐이다. 그런데 이런 끔찍한 이야기를 어떻게 이렇게 재미나게 쓸 수 있는 걸까?


왜 어떤 이는 규범에 순응하고, 어떤 이는 규범에 저항하며, 어떤 이는 규범 위에 군림할까? 「얼음을 씹다」中


「귓속의 세입자」에는 귓속에 들어가는 작은 생명체가 등장한다. 들어가기 전 정중하게 승낙을 받은 멋진 녀석이다. 그런데 이 녀석도 조금 이상하다. 자기가 들어가고 나올 때만 시간을 멈춘다. 딱 두 번. 자신에게 은신처를 제공한 인간에게는 전혀 도움을 주지 않는다. 그럼 이 녀석은 왜 등장한 걸까?


「차가운 파수꾼」은 지구가 뜨거워져 동토에 건설했던 건물들이 붕괴하기 시작한 시점이 배경이다. 얼었던 땅이 녹아서 아파트가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주인공이 사는 아파트는 조금 더 버틸 수 있을지도 모른다. 주인공이 지키고 있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이다. 외톨이였던 주인공에게 친구가 생긴다. 그런데 친구가 주인공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이야기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운조를 위한」에서는 주인공 운조가 바라는 삶이 어느 시간, 어떤 공간인지 찾아보는 재미가 있다. 운조는 수의사이다. 그런데 병원에서는 생명을 살리는 일이 아니라 생명체를 죽이는 일을 자주 맡긴다. 그렇게 자신의 삶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을 때 시간 여행을 하게 된다. 어느 시간, 어떤 공간으로 떠나게 되었을까? 「나인」에서 보여준 천선란 작가의 스토리텔링 능력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재미와 흥미로 잘 포장된 삶의 의미를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란다.



"문학과지성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