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의 역사 - 시대를 품고 삶을 읊다
존 캐리 지음, 김선형 옮김 / 소소의책 / 2022년 7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09/pimg_7904701913477447.jpg)
시詩를 즐겨 읽지 않는 까닭으로 시詩나 시인에 대해서 아는 것이라고는 학교에서 배운 게 전부이다. 그러니 '시의 역사'에 대해서는 더욱 문외한門外漢일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번에 만나게 된 <시의 역사>가 더욱 흥미로웠고 더 큰 의미로 다가왔다. 시보다는 단편소설이 좋고, 단편소설보다는 장편소설이 좋다. 단편소설은 장편소설보다 또 시는 단편소설보다 더 큰 함축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어 너무나 난해할 때가 있다. 그래서 점점 더 시를 멀리하게 되었다. 시를 멀리한다는 건 생각을 멀리한다는 것 같다. 깊은 생각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09/pimg_7904701913477448.jpg)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명예교수인 존 캐리는 시를 읽는 즐거움을, 이유를 들려주며 시의 역사를 보여준다. 그런데 시의 역사는 그 시를 탄생시킨 시인의 발자취와 같은 길을 걸었을 것이다. 그렇게 시의 역사는 자연스럽게 시인의 역사가 되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많은 시인들의 흥미로운 삶을 들려주고 있다. 정말 흥미로운 삶을 살았던 시인들이 많았다. 그리고 그 다양한 삶들이 다양한 작품들로 탄생한지도 모르겠다. 시의 탄생을 한눈에 보고 싶다면 책의 첫 페이지에서 만날 수 있는 '연대표로 보는 시의 역사'를 만나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시와 시인들과의 만남을 가진 후에 연대표를 만난다면 더 큰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09/pimg_7904701913477449.jpg)
책의 첫 느낌은 벽돌책치고는 재미난 외관을 가졌다는 것이다. 무언지 모를 친근함을 주는 표지가 책의 두께가 주는 불편함을 상쇄한다. 표지모델로 등장한 작가들도 역대급 캐스팅이다. 본문은 총 40개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통독하는 것도 매력적이지만 더 큰 매력은 어느 챕터를 따로 읽어도 재미있게 흥미롭게 시와 시인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CHAPTER 1『길가메시 서사시』를 시작으로 시대순으로 이름만 알고 있던 많은 시인들의 작품과 삶을 만난다.
호메로스와 사포를 만나고 '시의 코페르니쿠스'라고 불렸다는 존 던을 만난다. 벼룩을 처음 시에 담은 시인은 누구일까? 아니 벼룩이 시의 소재가 된 까닭은 무엇일까? 셰익스피어, 워즈워스, 바이런, 괴테 그리고 예이츠 등 유명 시인들은 모두 담고 있는 듯하다. 시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나 없어서 접하는 이야기마다 재미있고, 만나는 작가의 삶마다 흥미로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09/pimg_7904701913477450.jpg)
삶의 의미 있는 장면들을 그리던 작가들에게도 20세기는 힘들고 어려운 시기가 되었다. 러시아 혁명과 독일에 의한 전쟁 등 전 세계가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에 함몰된 시기였다. 그런 힘든 시기를 살았던 러시아 시인들을 포함한 작가들을 소개하고 있는 CHAPTER 39 정치와 시인에서는 반가운 이름을 만날 수 있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인도의 시인 타고르,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를 '동방의 등불'이라 노래해 주어 독립에 대한 의지와 희망을 키울 수 있는 에너지를 주었던 인도 시인. 조국의 독립, 인종 차별의 해결 등 자신들의 소신을 지키며 능력을 보여주고 있는 다섯 시인들을 소개한 CHAPTER 40 경계를 넘는 시인들을 마지막으로 시와 시인의 이야기는 끝을 맺는다.
"소소의책으로부터 도서를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