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나를 함부로 대할까 - 자기치유와 자기돌봄을 위한 자기관계 심리학
문요한 지음 / 해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과 의사이자 작가인 문요한이 들려주는 '자기돌봄'에 대해 만나보았다. 조금은 낯선 개념인 '자기돌봄'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는 '우리는 어떻게 자기와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까'라고 하는 고민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남들과의 관계가 힘들고 어려운 까닭을 나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것은 다른 심리학 책들과 별 차이가 없는 듯 보인다. 하지만 <나는 왜 나를 함부로 대할까>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는 내가 나 자신과 손잡고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p.56. 우리는 자기 부족함 때문에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자아상 때문에 자기 부족함에 집착하는 것이다.

자기친절, 자기돌봄 등의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나 자신부터 챙겨야지 그것을 원동력으로 타인과의 관계도 회복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바탕이다. 책은 그 바탕을 총 7장의 이야기로 들려주고 있다. 1장에서 3장까지는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스스로 진단해 보고 왜 자신과 멀어지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알려준다. 우리가 어떻게 자신과 불화하게 되었는지를 다양한 주제의 많은 심리학 연구들과 흥미로운 실제 사례들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3장에서는 자기돌봄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자기연민, 마음챙김, 친절한 자기대화를 제시하고 있다.

p.98. 이 제안의 핵심은 당신의 문제와 당신이라는 존재를 분리해 보자는 것이다.

그러고는 4장부터 6장까지의 내요에서 세 가지 실천방법에 대해서 촘촘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정말 디테일하게 들여다보고 설명하고 있지만 여전히 쉽고 편안하게 접할 수 있다. 정신과 의사가 들려주는 심리학 이야기는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매력적이다. 4장에서는 자기연민을 이야기하며 구체적인 명상법을 설명해 준다. 별도의 섹션을 할애해서 조금 더 흥미롭게 보여준다. 5장은 자아실현이라는 심리학 이야기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마음챙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7장에서는 자기돌봄에 대한 설명이 조금 더 깊이 있게 진행된다. 주의를 '밖'에서 '안'으로 옮기면서 시작한 자기돌봄은 '괜찮아'라는 위로에서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라는 도전으로 이어진다. 자기돌봄을 통해서 자기성장과 자기실현으로 나아가게 되고 자기돌봄의 핵심인 '순수한 기쁨'을 자기 자신에게 선물하게 된다. 물론 자기돌봄은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자기돌봄에 대한 아주 조금의 소개지만 자기돌봄의 매력을 알아차리기에는 충분했으리라 믿는다.

잘 정리된 심리학 책들을 읽다 보면 거의 모든 문장들이 가슴에 와닿는다. 이 책<나는 왜 나를 함부로 대할까>도 그렇다. 하지만 단 한 문장만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내가 힘들 때조차 나에게 친절할 수 있기를'(p.241)을 선택하고 싶다.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고 있는 자기돌봄에 가장 잘 어울리는 문장인 듯하고 앞으로 가슴 깊이 간직하고, 방황하는 이들에게 전해주고 싶은 말이다. 우리 모두 우리 자신에게 친절한 친구가 될 수 있기를 바라본다. 또 자기와의 관계를 회복하는 해법인 '자기돌봄'의 매력을 꼭 만나보기를 바라본다.



"해냄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