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질서와 문명등급 - 글로벌 히스토리의 시각에서 본 근대 세계
리디아 류 외 지음, 차태근 옮김 / 교유서가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질서와 문명등급>은 동양의 학자들이 서양 중심의 인류 문명 해석을 새로운 관점에서 들여다본 흥미로운 책이다. 인문학, 문화사, 세계사 등을 리디아 류를 포함한 열한 명의 중국 출신의 석학들이 분야별로 풀어쓰고 있다. 그런데 중국이라는 나라가 보이고 있는 행태가 책을 접하는 처음부터 선입견을 만들어놓아서인지 그리 쉽게 읽히지는 않았다. 우리의 전통의상을 자신들의 문화라고 전 세계인의 축제 올림픽에서 소개하고 김치를 자신들의 전통 음식이라 주장하는 우를 범한 중국. 하지만 중국 출신이라도 해외에서 인정받아 교수로 활동 중인 저자들을 믿고 끝까지 그들이 펼치는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인류의 문화를 서양 중심으로 줄 세우고 자기들 멋대로 등급 지어놓은 듯한 서양을 중심에 둔 문명 예찬론에 일침을 가하는 비판적인 이야기들이 왠지 모를 시원함을 안겨준다. 하지만 왠지 모를 답답함이 조금 남아서 사이다 같다는 표현이 어울릴지는 모르겠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성찰들이 즐거움을 주고 있지만 저자들이 동양이 아닌 중국의 관점에서 반론을 표고 있는듯한 느낌이 들어서 조금은 안타까웠다. 어쩌면 중국에 대한 내 편견이 만들어놓은 덫에 걸린 탓일지도 모르겠다.

인류 문명에 등급이 있을까? 각 나라의, 수많은 민족들의 문화를 평가하는 기준이 있을까? 이제 우리들 모두는 알고 있다. 유럽과 미국의 문화가 우수한 것이고 우리의 문화가 저급하다는 편견을 갖게 한 것은 서양 중심의 교육 탓이라는 점을. 지금은 모르겠지만 내가 교육받은 세계사라는 과목은 서양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터키가 우리를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까닭은 단순히 6.25 전쟁 참전국이라는 이유가 아니다. 훨씬 더 오래된 고대의 역사 속 인연을 교육받은 터키인들의 마음인 것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에는 터키는 없었다.

서양이 중심이라는 문명 갑질은 안타깝게도 현재 진행형인듯하다. 터키는 얼마 전 영어로 표기하는 국호를 튀르키예(Turkiye)로 바꾸고 유엔의 승인도 받았다. 하지만 미국과 영국의 대통령을 비롯한 그들 언론들은 나토 정상 회담 기사에서조차 튀르키예의 뜻을 존중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는 튀르키예의 요청을 받아들여 얼마 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대도 말이다. 서양의 문화 등급 매기기는 여전히 자신들을 중심으로 편협하게 돌아가고 있는 듯하다.


편협한 서양 중심의 문명 줄 세우기를 시원하게 비판하고 지리학, 국제법, 언어 그리고 여성 권리 등 정말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어서 의미 있는 시간을 선물해 주고 있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다른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며 인류가 미래로 향하는 올바른 길을 모색해 보게 하는 책이다. 책의 두께만큼 싸인 중국에 대한 불신과 편견이 책과의 만남을 방해했지만 서양 문명이 동양에 파고드는 과정을 만나볼 수 있게 해준 고마운 책이다.



"교유서가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