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터 프랭클 - 어느 책에도 쓴 적 없는 삶에 대한 마지막 대답
빅터 프랭클 지음, 박상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터 프랭클> 이 책은 빅터 프랭클이라는 인물이 아흔 번째 생일을 기념해서 자신의 애를 회고하며 정리한 자서전이다. 자서전이 번역 출간될 정도의 인물이라면 꾀나 알려진 인물일 텐데 처음 접하는 이름이다. 여기서 또 독서가 주는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독서는 무지를 깨우치게 해주는 소중한 친구다. 그런 친구가 소개해 준 빅터 프랭클이라는 인물은 특별함 그 자체였다. 그가 심리학 분야에서 이룬 의미 있는 업적이 특별했고 유대인으로서 살아야 했던 지난한 삶이 특별했다.

책은 정신분석 다루기, 믿음, 오스트리아 병합 등과 같은 소제목에 자신의 삶과 생각을 담은 에피소드를 그려내는 편안한 구성이다. 세 살 때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네 살 때 죽음의 공포를 처음 느꼈다는 천재 심리학자의 재미나고 흥미로운 이야기는 유대인으로서의 삶에 이르러 먹먹하기 시작한다. 오스트리아 빈을 중심으로 활동한 심리학자 하면 떠오르는 인물은 둘이다. 프로이트와 아들러. 그런데 빅터 프랭클도 그들과 함께 그곳에서 심리학을 연구했고 새로운 심리학 분야를 개척한 유명한 심리학자라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서 알았다.

정신분석하면 떠오르는 프로이트와 열다섯 살에 편지로 의견을 나누고 개인심리학을 창안한 아들러의 제자였던 프랭클은 히틀러의 유대인 정책의 피해를 받지 않을 수 있었다. 많은 동료들의 망명을 보면서도 그는 부모님과의 동행을 택한다. 부모님과 마지막까지 함께하기 위해 죽음의 길을 선택하고 몇번의 고비를 넘어 살아남았다. 하지만 부모님과 아내를 비롯한 많은 가족은 수용소에서 비참하게 죽었다. 아마도 그때 삶과 죽음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물론 전쟁 전부터 많은 연구를 하고 있었지만 수용소에서의 시간이 아들러와 개인심리학파를 등지고 '로고테라피'라는 새로운 심리학파를 창안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을 것 같다.

아흔 살의 심리학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잔잔하게 흘러들어 가슴속에 머문다. 재미나고 유쾌한 에피소드도 있고, 죽음을 선택한 용기도 만날 수 있다. 첫 번째 아내 틸리와의 사랑 이야기는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하다. 죽음을 피할 수 있는 기회를 마다하고 남편과 함께 유대인 수용소로 향하는 아내와 그런 아내의 죽음을 막으려는 남편의 사랑 이야기는 감동이라는 말로 표현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라다.

그렇게 이 책은 인생의 다양한 감정을 맛볼 수 있게 한다. 한평생을 인간의 감정과 심리를 연구한 심리학자가 쓴 자서전인 까닭일 것이다. 또 이 책에 담긴 '로고테라피'에 대한 이야기는 이 책을 읽는 재미와 흥미를 배가시킨다. 주로 주석을 통해서 들려주는 '로고테라피'에 대한 이야기는 저자의 또 다른 저서인간의 의미 추구(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찾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특별한서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