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운트다운 1945 -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 투하 전 116일간의 비하인드 스토리
크리스 월리스.미치 와이스 지음, 이재황 옮김 / 책과함께 / 2020년 10월
평점 :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2/2021/04/14/22/mhyang73_2610411938.jpg)
역사를 다룬
책은 정말 재미나다. 그런데 정사보다는 야사, 뒷이야기가 더 재미나고 흥미롭다.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낸 원자폭탄 투하에 관한 비하인드스토리라면
흥행은 보장된 이야기 아닐까? 세계 역사에서 손꼽히는 결정 중 하나인 원자폭탄 제조와 투하까지의 숨 막히는 과정을 116일간의 흥미로운 이야기로
만든 <카운트다운
1945>를 만나보았다. 미국의 보수 방송 폭스방송 시사프로그램 진행자 크리스 월리스와
퓰리처상을 수상한 기자 미치 와이스가
저자이다 보니 다분히 승전국 미국의 입장에서 서술된 느낌이지만 그래도 한편의 잘 만들어진 전쟁 다큐멘터리를 만나본
듯했다.
카운트다운의
시작은 116일이다. 평소와 다름없이 찾은 아지트에서 백악관에서 찾는다는 말에 한 통의 전화를 건 부통령 해리 트루먼이 "이런,
제기랄!"(p.9)하며 백악관으로 뛰어
가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루스벨트 대통령의 사망. 그렇게 갑자기 대통령이 된 당황스러운 트루먼에게 더 큰 당혹감이 찾아온다. 미국 정부의 비밀
핵무기 프로젝트 맨해튼 사업의 승계 여부를 떠나 실행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카운트다운에 들어가면 왠지 모르게 긴장은 더해지고 마음은
바빠진다. 그러니 제목이 카운트다운인 이 책은 시작부터 빠른 속도감과 긴장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1/2021/04/14/22/mhyang73_5763624760.jpg)
루스벨트 대통령의
죽음으로 시작한 카운트다운의 끝은 히로시마에 원자 폭탄 '꼬마(Little
Boy)'를 투하하는 순간이다. 무시무시한 원자폭탄과는 어울리지 않는 이름 같았다. 그런데 며칠 뒤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폭의 이름은 '뚱보(Fat
Man)'이다. 친근함을 뜻하는 이름이 무시무시한 무기의 이름이 된 까닭은 무엇일까? 하여튼 루이스가 "맙소사, 우리가 무슨 짓을 한 거지?"(p.318)라며
히로시마 폭파 상공을 날고 있을 때 카운트다운은 끝나게 된다. 하지만 책은 끝나지
않는다.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1/2021/04/14/22/mhyang73_7432795630.jpg)
왜냐하면 이 책은
원자폭탄 투하라는 역사적인 사건 속에서 호흡을 같이했던 사람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그 후'를 통해서 등장했던
사람들의 전쟁 후의 삶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적인 사건에 참여했던 다양한 부류(과학자, 노동자, 전투기 조종사, 군인, 정치인 등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의 사람들이 등장해서 각자의 삶을 들려주며 거의 매 카운트다운 때마다 새로운 인물들을 만날 수 있어서 흥미는 끝날 때까지 진행형이다.
자신이 하는 일이 우라늄을 농축하는 것인지도 모른 체 전쟁터에 나간 애인 걱정을 잊기 위해 열심히 하는 루스 시슨의 사랑이 이루어지기를 바랐고
히로시마 원폭으로 엄마를 잃은 어린 소녀 다무라 히데코의 행복을
빌었다.
![](http://book.interpark.com/blog/blogfiles/userblogfile/2/2021/04/14/22/mhyang73_2379814770.jpg)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기록을 바탕으로 많은 인터뷰를 통해서 만들어 놓은 새로운 형식의 역사를 만날 수 있어서 너무나 행복했다. 새로운 많은 것들을 알게 되어
기뻤지만 그중에서도 무서운 핵폭탄의 귀여운 이름과 트루먼 대통령의 오른팔의 정체를 만나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매력적이었다.
"책과함께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