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역사는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신병주 교수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언제나 따뜻하다. 인간적인 면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까닭인듯하다. 조선의 역사를 왕이라는 최고의 자리에 있었던 개인의 삶으로 들려주고, 또 그 왕을 보좌했던 신하로서의 삶을 통해서 들려주었던 이야기는 이제 왕비의 삶으로 향한다. 이번에도 저자는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화려한 옷을 입고 등장하는 왕비들의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한마디로 그녀들의 삶은 화려하지만은 않았다. 화려함 뒤에 숨은 왕비들의 고단한 삶을 만나본다.

<왕비로 산다는 것>왕으로 산다는 것」,「참모로 산다는 것」에 이어 저자가 들려주는 조선의 세 번째 역사 이야기이다. 태조 이성계의 아내였지만 왕비로 살지 못한 신의왕후 한씨를 시작으로 조선의 마지막 왕비 순정왕후 윤씨까지 때로는 역사의 중심에 서고, 때로는 역사에 파묻혔던 조선의 모든 왕비들을 만나볼 수 있다. 왕비들의 삶을 만나다 보니 자연스럽게 왕들의 삶도 만나볼 수 있다. 후궁이 없었던 조선의 왕은 누구일까? 조선의 왕중 외국에서 태어난 유일한 왕은 누구일까?

 

왕비의 기본적인 삶의 여정은 세자빈을 거쳐 왕비가 되고 대비에 오르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의 역사 속에서 너무나 당연하게 보이는 삶을 산 왕비는 현종의 왕비인 명성왕후 김씨 만이 유일하다고 한다. 권력의 변화가 너무나 심했던 조선 왕조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조선의 27명의 왕중에서 적장자 출신은 단 7명뿐이다. 그런 상황에서 세자빈의 자리는 불안하기만 했고, 왕비의 자리도 권력과 부가 보장되는 자리는 아니었던 것이다.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 송씨는 평민으로 전락한 채 생계를 위해 옷감 염색을 하며 삶을 마감했다고 한다. 그녀는 세조에 의해 단종이 상왕이 되면서 16세의 나이에 조선의 최연소 대비가 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실제 왕비로 있었지만 남편이 왕의 자리에서 쫓겨나면서 공시적인 왕비로 인정받지 못한 비운의 왕비들도 있다. 연산군의 왕비였던 폐비 신씨와 광해군의 왕비였던 폐비 유씨가 그 주인공들이다. 그런데 폐위된 뒤 두 여인의 삶은 많이 다르다. 반군들에게도 인정받은 인성의 소유자는 편안하게 삶의 마지막을 맞을 수 있었다. 누구였을까?

 

언제나 그렇듯 역사 이야기는 재미있다. 특히 신병주 교수가 들려주는 역사 이야기는 더욱더 재미나고 흥미롭다. 조선의 역사를 고단한 삶을 산 왕비들을 통해서 흥미롭게 만날 수 있어서 좋았고, 조선 왕조의 흐름을 한 번에 볼 수 있어서 좋았다. 궁궐 내 암투뿐 아니라 수렴청정으로 역사의 중심에도 섰던 왕비들의 삶을 만나보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