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서 - 한국 차 문화사 자료 집성
정민.유동훈 지음 / 김영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차 문화를 깊이 있게 만나보았던 것은 한국문화재재단에서 실시했던 '경복궁 자경전 다례문화 체험'에서였다. 아이와 함께 참여했던 행사에서 우리의 차 문화는 '다도'가 아니라 '다례'라 부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차를 따르고 마시는 전통을 조금 맛보았던 기억이 있다. 그런 까닭에 정민 한양대학교 교수와 유동훈 목포대학교 연구원이 들려준 우리 차에 관한 옛이야기가 더욱 흥미로웠다.

<한국의 다서>는 우리 차 문화에 대한 옛 기록들을 바탕으로 차에 관한 모든 것을 들려주고 있다. 오래된 문헌에서 찾은 차에 관한 30편의 글을 자세하게 하지만 쉽게 풀어주고 있어서 좋았다. 그 글을 쓴 작가와 자료를 소개하고, 원문을 보여주고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풀이해 준다. 그리고 그 글이 담고자 했던 이야기를 해설해 주고 있다. 그런데 책에 담겨있는 30편의 글들이 각각의 개성을 뚜렷하게 가지고 있어서 처음부터 끝까지 재미나게 접할 수 있었다.


차의 국제 무역을 제안한 이덕리의 『기다記茶,서유구의 『임원경제지』속에 담긴 차에 관한 이야기, 차의 역사와 효용에 관한 예찬이 담긴 초의 의순의 『동다송東茶頌그리고 한국 차 문화사를 이야기하고 있는 문일평의 『차고사茶故事까지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재미나게 만나볼 수 있었다. 특히『기다』에서 차 국제 무역을 통해서 국익을 찾으려 했던 이덕리의 제안은 정말 흥미로웠다.

흥미롭게 읽은 많은 글들 중에서 가장 재미나게 읽었던 글은 다산 정약용이 남긴 글이었다. 대학자다운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는『각다고』에서 다산은 중국 역대 차 전매 제도의 변화를 보여주면서 중국 차 문화사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품위 있던 선비의 모습과는 다른 색다른 모습을 보여준 『걸명소乞茗疏를 보면서 다산의 유연함을 느낄 수 있었다. 만덕사 주지 혜장에게 차를 구걸한다는 귀여운 내용에서 다산의 열린 마음을 접할 수 있었다.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된 차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만날 수 있었고 그 만남은 우리 전통 차 문화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기에 충분했다. 이 책에 담긴 두 저자의 노력이 너무나 감사했다. 딱딱한 한문을 부드럽고 쉽게 해설해 주어서 고마웠고, 우리 차 문화에 대한 기록들을 알게 해주어서 감사했다. 우리 차 문화를 맛볼 수 있게 해주는 정말 멋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