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라는 발명 -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하여
데이비드 우튼 지음, 정태훈 옮김, 홍성욱 감수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할 때  늘 함께 등장하는 것이 과학이다. 인공지능을 비롯한 과학의 발전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듯하다. 그렇게 인류의 발전과 과학의 발전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함께 나아가고 있다. 과학과 인류가 함께 하기 시작한 때는 언제일까? 또 과학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과학의 시작을 새로운 시선으로 독특하게 보여주고 있는 흥미로운 책이 있어서 만나보았다.

특이하게도 과학에 대한 이야기인데 저자가 과학과는 거리가 있는 요크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데이비드 우튼이다. 역사학자가 쓴 과학 이야기 <과학이라는 발명>에서는 근대과학에 시작을 이야기하면서 '과학혁명'을 주장한다. 또 산업혁명의 기초는 과학발전에 있었고 과학혁명은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존의 과학사가들이 말하던 '과학혁명은 없었다' '과학혁명은 점진적으로 일어났다'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책의 기본 흐름은 반박에 대한 증명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학혁명이 존재했고 그 진행은 급진적이었다는 반박의 증거들은 무엇일까? 역사학자인 저자는 어떤 방법으로 과학을 증명해 보일까? 튀코 브라헤가 새로운 별을 관찰했던 1572년과 뉴턴의『광학』이 출간되었던 1704년 사이를 근대과학의 시작으로 보고 다양한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 담긴 과학 이야기에는 과학자들보다는 철학자들이 더 많이 등장한다. 벽돌보다 더 두꺼운데도 쉽고 재미나게 읽을 수 있는 까닭이 여기에 있는 지도 모르겠다.

근대과학의 시작과 과학혁명을 이야기하는 두꺼운 책에 철학자들은 왜 등장하게 된 걸까? 아마도 저자가 근대과학의 시작과 발전에 대한 이야기를 사실, 실험, 법칙 그리고 가설 등의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기원을 '단어'자체에서 찾았기 때문일 것이다. 과학을 인문학적인 요소들로 풀어내고 있어서 정말 흥미롭게 책장을 넘길 수 있는 신기한 과학 책이다.

 

1장 근대적 지성을 시작으로 17장 '나는 무엇을 아는가?'로 끝을 맺는 책은 서문(2장)본문 (4부 12장) 그리고 결론(3장)으로 구성된다. 각 장마다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최고의 지성일 것 같은 데카르트가 무엇 때문에 언쟁을 했을까? 그 이유를 알게 되면 실망할지도 모른다. 「걸리버 여행기」를 쓴 작가로만 알았던 조너선 스위프트가 과학자다? 과학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적인 흥미로운 이야기들은 '과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으로 수렴하고 있다. 과학의 역사, 범위, 그리고 근대과학이 가진 인류사적 의미를 만나볼 수 있게 해주는 정말 고마운 벽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