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하, 나의 엄마들 (양장)
이금이 지음 / 창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비출판사 사전 서평단으로 흥미로운 경험을 했다. 작가가 누군지 모른 체 소설을 읽고 재미나고 독특한 서평단 활동을 행하는 것이다. <알로하, 나의 엄마들>을 읽으면서 조금씩 떠오르는 작가의 이름이 있었다.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로 만나보았던 이금이 작가이다. 그 작품을 통해서 알지 못했던 어두운 일제시대 여성의 삶을 접하게 되었고  바이칼 호수에 가보고 싶었다. 눈물 가득 머금은 작가의 문장들은 언제 쏟아져도 이상하지 않았다. 이번 작품에서도 작가의 문장들은 눈물을 머금고 있다. 감수성이 극에 달한 작가의 글들이 몰입도를 극에 닿게 하고 있다.

 

「거기, 내가 가면 안 돼요?」보다는 더 강해진, 더 강해질 수밖에 없었던 '포와' 이주 여성들의 삶이 담겨있다. 이금이 작가의 작품에는 선택할 수 없었던, 선택하지 않은 삶을 살아야만 했던 우리 누이들의 애달픈 삶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그래서 더 감성적이고 더 감동적인 작품을 접할 수 있는 듯하다. 이금이 작가의 또 다른 매력은 작품 속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우리 민족의 역사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승만과 대립했던 박용만. 소설 속 버들의 남편 태완을 통해서 알게 된 독립운동가 박용만의 삶을 찾아보는 것도 흥미로웠다.

 

공부만 할 수 있다면 호강하지 못해도 좋았다.

설령 고생을 한다 해도 한 번쯤은 자신만을 위해서 하고 싶었다.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솔깃한 중매쟁이의 제안에 '사진결혼'을 선택한 버들. 청상과부가 되어 어쩔 수 없이 '포와'행을 결심한 홍주 그리고 무녀로서의 삶을 버리기 위해 하와이행 배에 오르는 송화. 그런데 이들의 선택에는 어머니, 할머니의 결정이 중대한 역할을 한다. 그렇게 선택되어진 삶은 어떤 모습으로 세 친구를 만나러 올까? 1918년 하와이 이주민과의 혼인을 위해 조선을 떠난 세 친구들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경상도의 작은 마을 '어진말'에서 나고 자란 세 여성의 삶의 방향은 각자 다른 이유로 하와이로 향한다. 사진보다는 훨씬 늙은 신랑과 가난하게 살아야 하는 홍주와 송화는 울음을 참지 못한다. 버들은 사진 속 젊은 신랑과 결혼하고 그것만으로도 미소 짓는다.

 

버들은 가장 좋아하고 기다리는 시간에 가장 많이 실망하고 상처받았다.


하지만, 남편 태완의 과거를, 결혼하게 된 까닭을 우연히 알게 된 버들은 주저앉고 만다. 하지만 버들은 툭툭 털고 일어나 태완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그런 씩씩한 버들이 무서워하는 것이 하나 있다. 독립운동. 아버지와 동생의 목숨을 일본에 빼앗긴 버들은 남편 태완의 독립운동이 불안했다. 하지만 여기는 미국 하와이였고 일본은 아주 멀리 있었다. 버들은 태완과 함께 행복할 수 있을까?

 

소설 속에 하와이에 이주한 여성들의 모습은 모두가 '버들'과 비슷했다. 자식을 위해, 집안을 위해 '선택'하고 고생하는 억척스러운 어머니의 모습은 예나 지금이나, 하와이에서나 대한민국에서나 비슷한 것 같다. 자매처럼 친한 세 친구들이 들려주는 하와이 이민사에서 오늘의 정치판이 오버랩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어제의 역사로 오늘의 사회를 비춰보는 듯해서 안타까웠다. 대립과 반목.


어디서나 흔히 들을 수 있는 '알로하'라는 말은 단순한 인사말이 아니다.

배려, 조화, 기쁨, 겸손, 인내 등을 뜻하는 하와이어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말이었다.


세 친구들은 아이도 비슷한 시기에 낳아 기른다. 그리고 그 아이들 중 한 아이 이 소설의 결말을 책임진다. 자신들이 선택하지 못했던 고단한 삶을 살았기에 자식들에게는 '선택'할 수 있는 삶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또 노력했다. 그렇게 키운 한 아이 이 엄마와 이모들의 삶을 정리한다.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정리할까? 세 친구들의 삶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갔을까? 너무나 가슴 아픈 이야기를 정말 아름답게 풀어내고 있다.  이 들려주는 놀라운 반전마저도 너무나 아름답다. 극과 극은 통한다고 했던가. 슬픔과 아픔의 끝과 아름다움과 감수성의 끝이 맞닿아서 감동을 만들어낸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