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ㅣ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서가명강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아홉 번째 책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를
만나보았다.
jtbc<차이
나는 크라스>
팟캐스트<과학하고
앉아 있네>등
각종 매체를 통해서 대학 밖에서 대중들에게 천문학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윤성철 교수의
책이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교양과목인 <인간과
우주>수업
내용을 4회로
압축해 진행한 <서가명강>
강연을
바탕으로 천문학에 입문할 방법을 모르는 이들을 위해 천문학의 매력을 쉽게 풀어쓴 책이다.
p.194.
이제
우리는 우주에서 원소들이 어떤 과정으로 생성되었고,
그것이
별들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천문학과는 너무나 친하지 않았던 까닭에 도서 설명과는 다르게 힘들게 읽었다.
별을
품고 있는 하늘 이야기였다면 조금은 쉽게 만날 수 있었을까?
철학이
인문학의 바탕이라면 과학의 바탕은 물리학일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그 바탕에 충실한 책이다.
우주의
근원을 설명할 때 물리학적인 내용이 많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통해서 천문학의 근원은 물리학과 수학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천문학의
많은 이론들을 증명하는데 물리학과 수학적인 계산이 사용되었고 그 사실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고 있다.
그래서
어려운데도 재미나다.
p.199. 빅뱅우주론이
추적하는 우주의 역사는 인간 또한 우주 역사의 일부라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은
별의 먼지에서 탄생했다.
인간의
몸 안에는 광활한 우주의 역사가 그대로 체현되어 있다.
우주의
진리는 평범한 인간 안에 있다.”p.10.
라는
말로 시작되는 책의 구성은 총 4부이다.
1부에서
들려주는 천문학의 시작과 발전은 편안하게 즐겁게 읽을 수 있다.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넘어오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재미나게 천문학의 기초를 만날 수 있다.
2부와
3부에서는
우주의 시작,
인류의
시작을 들려주고 있다.
저자
나름대로 쉽고 편안하게 들려주고 있는데 빅뱅부터 머리가 멍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저자의
이야기를 따라가기 벅찰 때쯤 등장하는 아름다운 별 사진들은 다시한번 천문학의 매력에 빠져들게 한다.
p.183.
우주는
과거와 현재가 다르고 현재와 미래가 다르다.
4부
외계 생명과 인공지능,
인류는 어디로 갈
것인가에서는 존재 자체가 흥미로운 외계 생명체에 대한 이야기를 인류의 탄생과 견주어 이야기해
준다.
외계
생명은 존재할까?
별의
먼지에서 진짜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을까?
인류의
시작이 우연일까?
필연일까?
p.144.
자연에서
일어난 현상은 우연이든 필연이든 모두 과학의 탐구 대상일 수밖에 없다.
별과
우주 그리고 우리 인류의 탄생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이야기도 있었지만 어려운 이야기를 따라잡았을 때의 기쁨은 흥미로운 천문학 이야기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었다.
인류와
우주의 탄생을 함께 담아낸 매력적인 천문학 이야기는 ‘그리고
이렇게 이어지는 질문은 과연 어디에서 멈출 수 있을까?(p.266)라는
열린 결말로 끝을 맺는다.
열린
도전 정신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학에서 볼 수 있는 멋진 결말이었다.
p.200.
거울에
비친 당신은 우주 역사의 체현이다.
인류의
기원을 별의 먼지에서 찾아가는 천문학의 매력적인 도전을 만나볼 수 있는 아주 멋진 책이다. 천문학의
신세계를 처음 도전해보고 싶다면 주저하지 말고 읽어보기 바란다.
처음에는 어둡게
다가선 우주에서 조금씩 밝은
별빛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