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2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empus Fugit, Amor Manet (템푸스 푸지트, 아모르 마네트)

'세월은 흘러도 사랑은 남는다.'

 

『고구려』로 널리 알려진 김진명 작가의 신작 <직지>를 만나보았다. 미중전쟁』에서 우리나라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었던 작가는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역사를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유럽으로 확장하고 그곳에서 우리 문화의 자랑 금속활자를 이야기하며 우리 문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김진명 작가의 작품을 만나면 언제나 우리 민족의 우수함을, 자긍심을 만날 수 있어 좋았다. 그런데 이번 작품에서는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우리 민족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도 느낄 수 있었다.

학교에서 우리는 현존하는 최고의 금속활자본을 '직지심경'이라고 배웠고 그렇게 암기하고 시험문제의 답으로 알고 살았다. 하지만 직지심경은 프랑스인들이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정식 명칭은 『백운화상초록 불조직지심체요절』이고 직지 또는 직지심체요절이라 줄여서 부른다고 한다.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 직지에 대해서 너무나 무지했다는 것을 이 소설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서울국제도서전에서 만난 '직지'를 그저 우리나라 인쇄 역사의 시작 정도로만 알고 체험 한 장 달랑 들고 온 것이 부끄럽게 느껴진다. 내년 도서전에서 직지를 다시 만난다면 정말 진지하고 차분하게 직지에 대해 많은 것들을 알아보고 싶다.

소설 <직지>는 두 권으로 구성되었다. 그중에서 2권을 만나본다. 2권의 시작은 기자 기연이 '카레나'의 의미를 알아내고 1400년대로 돌아가 상상의 날개를 펼치면서 시작된다. 기자 기연에게 상상의 날개를 달아주고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작가의 상상력은 정말 신기에 가까웠다. 세종대왕이 등장하고 은수라는 여자가 등장한다. 그리고  신미라는 승려도 등장한다. 이쯤 되면 이야기의 흐름이 어디로 향하는지 모두들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왜 이야기가 이쪽으로 흘러가는지 금속활자 직지와 한글 창제가 무슨 관계가 있는지 의아해하며 조선 여인 은수의 뒤를 따라 역사 속으로 들어가 본다. 그곳에서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를 만나고 우리 민족의 우수함을 만나본다.

1권의 이야기를 현재의 여인 기연이 이야기를 끌고 간다면, 2권의 이야기는 조선의 여인 은수가 이야기를 끌어 나가고 있다. 그런 은수의 이야기는 멀고도 먼 시간과 장소 속으로 우리를 끌어들인다. 그리고 중세 유럽에서 이국적인 로맨스도 보여주고 있어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닐 게이먼은 "소설은 진실을 말하는 거짓이다."라고 소설을 이야기했다. 이 소설 <직지>가 바로 증명할 수 없는 진실을 품은 허구인듯하다. 고려 문화 최고의 유산 직지의 새로운 모습을 만날 수 있는 또 지식혁명의 바탕에 직지와 한글, 그리고 반도체가 있다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직지>를 통해서 작가 김진명의 엄청난 상상력을 만나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