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Tempus
Fugit,
Amor
Manet (템푸스 푸지트, 아모르 마네트)
'세월은 흘러도 사랑은
남는다.'
『고구려』로 널리 알려진 김진명 작가의 신작 <직지>를
만나보았다.
『미중전쟁』에서 우리나라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었던 작가는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역사를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유럽으로 확장하고 그곳에서 우리 문화의 자랑 금속활자를 이야기하며 우리 문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김진명
작가의 작품을 만나면 언제나 우리 민족의 우수함을,
자긍심을
만날 수 있어 좋았다.
그런데
이번 작품에서는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우리 민족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도 만날 수
있었다.
학교에서
우리는 현존하는 최고의 금속활자본을
직지심경이라 배웠고 그렇게 암기하고 시험문제의 답으로 알고 살았다.
하지만
직지심경은 프랑스인들이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정식
명칭은 『백운화상초록 불조직지심체요절』이고
직지 또는 직지심체요절이라 줄여서 부른다고 한다.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 직지에
대해서 너무나 무지했다는 것을 이 소설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서울국제도서전에서 만난 '직지'를 그저 우리나라 인쇄 역사의 시작 정도로만 알고
체험 한 장 달랑 들고 온 것이 부끄럽게만 느껴진다. 다음에 직지를 다시 만난다면 정말 진지하고 차분하게 직지에 대해 많은 것들을 알아보고
싶다.
소설
<직지>는 두 권으로 구성되었다. 그중에서 1권을 만나보았다. 1권의 시작은 전혀 예상치 못한 전개를 보여준다. 직지에 관한 이야기로
잔잔한 전개를 예상했던 이야기의 시작은 살인 사건이라는 스릴러로 긴장감을 주며 시작한다. 그저 그런 소설이 아니라는 것을 시작부터 강렬하게
알리고 있는 것이다. 사회부 기자 기연은 너무나 색다른 살인 현장과 살인 무기를 바탕으로 무언가 평범한 범인에 의한 살인이 아님을 느끼고 사건의
뒷이야기를 파헤치기 시작한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청주 서원대학교의 김정진 교수를 찾아내게 된다. 그리고 김 교수를 만나면서 이야기의
전개는 속도를 높이기 시작한다.
라틴어를 전공한
서울대학교 노(老)교수 전형우의 기괴한 살인 현장에서 시작된 이야기는 긴장감을 더하며 우리 민족 문화의 자랑 '직지'로 이어진다. 라틴어와
직지가 무슨 관계일까? 이야기의 빠른 흐름을 따라가면서 다시 한번 김진명이라는 작가의 방대한 지식이 놀랍기만 하다. 직지에 대한 그리고 조선에
대한 작가의 생각이 김 교수의 입을 통해서 시원하게 표현되고 있는 듯하다. 너무나 시원하게 표현하고 있어서 한여름 무더위를 날려버릴 정도로
시원하다.
라틴어와 직지가
관련이 있다고 해도 라틴어를 전공한 노(老)교수가 이교도나 마녀들의 종교 재판에나 사용했던 방법으로 살인을 당한 까닭은 무엇일까? 살인의 배후를
쫓는 기자 기연의 앞에 두 개의 이름이 등장한다. 스트라스부르의 피셔
교수와 아비뇽의 카레나. 그리고 이야기는 더 먼 곳으로 향해가면서 1권은 끝을 맺는다. 역사적인 사실과
작가의 상상력이 조화를 이루면서 직지와 쿠텐베르크, 그리고 역사와 지금이 비교되면서 엄청난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었다. 그렇게 1권이 끝날
때쯤 이야기는 조금 더 확장되고 조금 더 깊은 역사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