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숙의 나라
안휘 지음 / 상상마당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민족의 역사를 한마디로 한다면 무엇이라 말할 수 있을까? 개인적으로 우리 민요 '아리랑'에 담긴 한(恨)이라 말하고 싶다. 우리의 역사는 유교사상의 가장 큰 피해자인 여인들의 한과 잦은 외세 침략에 피폐해진 민초들의 한이 서린 눈물의 역사인듯하다. 그런데 이 책<애숙의 나라>를 통해서 만나게 된 우리의 역사는 더욱더 비참했다. 어떻게 한나라의 왕이 여염집 아비보다 못한 생각을 했는지, 그런 결정에 동조하는 위정자들의 행태는 어찌 그리 오늘과 하나도 다르지않은지 한심하기 그지없었다.

이 책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쓴 안휘의 장편역사소설이다. 그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이 너무나 기가차고 한심한 것이다. 청나라에서 공주를 보내줄 것을 요구했고 그 요구를 받아드릴수밖에 없는 조정에서는 숙안공주대신 종친 이개윤의 딸 이애숙을 갑자기 의순공주로 만들어 청나라 섭정왕 도르곤에게 시집보낸것이다. 흔히들 말한다. 제 자식 귀하면 남의 자식도 귀한 줄 알아야한다고. 효종이라는 왕의 진취적인 북벌정신을 좋아라했었는데 완전 실망했다. 그런 수모를 당하고도 당파싸움만 일삼는 위정자들의 모습은 하도 자주 접하는 모습이라 낯설지도 않았다.

의순공주로서의 삶은 어린 소녀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큰 시련이었다. 그리고 어린 소녀가 한 여인으로 성장해나가는 길에는 언제나 '조선'이라는 허울뿐인 조국이 걸림돌이 되었다. 그래도 그런 '나라'를 위해 희생한 의순공주는 어떤 삶을 살다가 어떻게 떠났을까? 역사적인 사실이 바탕을 이루지만 요소요소에 흥미로운 사건들이 더해져 작품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작은 에피소드들이 충분히 개연성을 가진 이야기들이라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청나라에서 구사일생으로 귀향한 여인들에게는 어떤 일들이 기다리고 있었을까?

 

애숙이 지키려했던 조선은 애숙의 나라가 아니었고 남자들, 사대부들의 나라였다. 의순공주가 그리워하던 나라는 의순공주의 나라가 아니었고 썩어빠진 위정자들의 나라였다. 지금 우리의 나라는 우리들의 나라일까? 애국심만을 요구하는 오늘의 대한민국도 애숙의 애국심에 호소한던 조선과 별반 다르지않은 듯하다. 이애숙의 삶이 너무나 슬프고 안쓰럽고 미안했다. 조국을위해 자신의 삶을 내놓은 열여섯 소녀의 파란만장한, 한으로 점철된 삶을 만날때에는 흐르는 눈물을 참을 수 없을 것이다. 한 여인의 삶을 유린한 조선이 <애숙의 나라>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