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방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 3
다니자키 준이치로 외 지음, 김효순 옮김 / 이상미디어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추리문학사에서 볼 때 다이쇼 시대(1912~1926)는 메이지 시대(1868~1912) 말 유행했던 자연주의가 쇠퇴하고 탐미주의적 경향이 대두하면서 순문학 작가들에 의해 예술적 경향의 탐정소설이 창작된 시기라고 한다. 이상미디어일본 추리소설 시리즈 세번째 작품집 <살인의 방>은 바로 그 시대에 활동했던 작가들의 작품들을 담고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 훗날 에도가와 란포 등의 추리소설작가들이 다니자키의 작품을 모방하려 했을 정도로 일본 추리소설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가라고 한다. 이 작품집에서는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작품 <살인의 방> <길 위에서> <도둑과 나> 세 편을 만나볼 수 있다. 작품집의 타이틀 <살인의 방>은 광기어린 친구 소노무라의 제안으로 살인 현장을 목격한 다카하시가 친구 소노무라의 미친듯한 행동에 고뇌하는 모습이 너무나 인상적인 작품이다. 짧은 이야기이지만 촘촘한 스토리 전개와 엄청난 반전이 숨어있는 정말 굉장한 작품이다. 소노무라 같은 친구가 있다면 삶이 심심하지는 않을 듯하다. 광기에 빠진 소노무라와 고뇌에 빠진 다카하시를 꼭 한번 만나보길 바란다. <길 위에서>이 작품집이 일본의 탐정소설들을 담았다고 했는데 명탐정 코난의 탐정 유명한 같은 진짜 탐정이 등장하는 소설은 이 작품이 유일하다. 어느날 산책하는 유가와에게 찾아와 몇가지 질문을 하겠다며 함께 길을 걷자고 하는 사립탐정 안도 이치로의 등장으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탐정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우연이 필연이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우연 뒤에 자리한 그 무엇이 유가와를 주저앉게 만든다. 유가와가 주저 앉을때는 함께 주저앉을 만큼 커다란 전율이 느껴지는 작품이다. <도둑과 나>는 학교 기숙사 내에서 벌어지는 절도 사건을 배경으로 한 등장인물들의 심리 묘사가 뛰어난 작품이다. 진정한 믿음이란 어떤 것인지 생각해보게 하는 작품이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솔직히 이 작품집에서 유일하게 이름을 알고 있는 작가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이다. 하지만 그의 작품을 만나보는 것은 처음이라 무척이나 설레였다. 그의 작품도 <개화의 살인> <의혹> <덤불 속> 세 편이 수록되었다. <개화의 살인>에서는 일본 개화기에 사회상을 간접적으로 만날 수 있는 데 우리의 개화기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물질만능주의가 만들어낸 폐해를 온몸으로 느끼며 살인이라는 유혹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한 의사의 인간적인 고뇌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의혹> 이 작품은 너무나 가슴 아픈 이야기를 들려준다. 대지진과 아내의 죽음 그리고 그뒤에 숨겨진 진실때문에 평생을 괴로움에 빠져있는 한 남자의 이야기가 깊은 생각에 빠지게 한다. 어떤 선택이 최선의 선택이었을까? 주인공 나카무라 겐도의 입장이었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 <덤불 속>은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라쇼몬의 원작 소설이라고 한다. 영화를 본 까닭인지 모르지만 영화 속 장면들이 떠올라서 더욱 재미나게 읽을 수 있었다. 영화를 보면서도 느꼈었지만 각자의 입장에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는 등장인물들이 흥미롭다.

 

기쿠치 간 <어떤 항의서> 가족을 허망하게 떠나보낸 한 인간의 절규를 만날 수 있었다. 정말 한 맺힌 이야기를 접하면서 선과 악의 정의가 그리고 용서의 기준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울림이 강한 작품이다. 살인의 죄를 용서할 수 있을까? 잘못을 뉘우친다면 용서할 수 있을까? 용서해야만 하는 것일까?

 

히라바야시 하쓰노스케 <예심조서> 가족간의 사랑이 만들어 낸 기묘한 사건이 흥미로운 작품이다. 서로를 사랑하는 부자간의 애틋한 사랑이 어떤 사건을 만들어 내는 지 꼭 만나보기를 바란다. 추리소설 번역과 평론도 하였다는 작가의 두 번째 작품<인조인간>은 추리소설이라기 보다는 SF소설에 가까운 것 같았다. 어떻게 그 오래전에 이런 소재를 생각해 낼 수 있었는지 놀랍기만하다. 인조태아를 통해 인간을 탄생하겠다는 한 박사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황당하면서도 이 작품이 1928년에 쓰였다는 것이 놀라웠다.

 

 『작품해설』에서 알려주고있듯이 이책에서 만나본 작품들은 모두 추리소설이라기보다는 예술적 향기가 짙은 심리소설 같았다. 선과 악의 사이에서 인간으로서 고뇌하는 모습을 죽음이라는 모티브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살인이라는 죄의식 앞에서 고뇌하는 인간들의 심리를 통해서 진정한 선과 악의 기준이 모호해지는 느낌을 느껴보는 쉽지 않은 경험을 하게 해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