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어원사전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시리즈
이재운 지음 / 노마드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흔히들 우리가 읽는 글은 글을 쓸 당시의 사회상을 담고 있다고 한다. 그 시대의 문화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글에 담긴 단어들도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왜 그런 단어들을 쓰게 되었는지 알 수 있다면 그 당시의 사회상을 제대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런 욕심을 채워주고도 남을 좋은 책을 만나본다. 노마드에서 나온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시리즈 중에서 우리말 어원을 다루고 있는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이 바로 그 멋진 책이다. 정말 멋진 책이다.

 

이 책의 순서는 고조선 시대를 시작으로 부족국가~통일신라시대, 고려 시대, 조선시대, 개화기, 일제강점기를 거쳐서 광복 이후로 끝을 맺고 있다. 우리말 어원을 우리의 역사 순으로 담고 있어서 단어들의 어원을 읽으면서 우리의 역사도 함께 그려볼 수 있다는 점이 참 매력적이다. 우리말 단어들이 언제 어떻게 왜 시작되었는지 어원을 알아보면서 역사 속으로 들어가 볼 수 있는 것이다. 조카라는 말처럼 너무 흔하게 쓰고 있어서 어원조차 궁금하지 않았던 단어들이 가진 어원을 보면서 혼자 놀라기도 하고 환향녀호로 자식 같은 아픈 어원을 가진 단어들을 만나면서 혼자 아파하기도 하고, 온도를 나타내는 섭씨화씨를 보면서 혼자 웃기도 하면서 이 책의 마지막 단어 후천성면역결핍증을 만났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던 부분은 본문이 끝나고 부록으로 실려 있는 부록 3. 우리말의 탄생과 진화에 담긴 글이었다. 옆 나라 일본의 작가들은 노벨문학상을 타는 데 왜 우리나라 작가는 노벨상을 타지 못하나라는 질문으로 시작되는 글이 너무나 좋았다. 늘 궁금해하며 아쉬워했는데 정말 시원하게 답을 알려주고 있다. 물론 저자가 말하는 이유가 다는 아니겠지만 정말 공감할 수 있었다. 고구려어는 다 어디로 갔을까?’ 역사 속에 사라진 언어가 일본어(청국장을 나타내는 미소, 된장을 가리키는 미순)에 남아있다는 것에 정말 놀랐고 우리말 어원의 연구가 필요한 까닭을 알 수 있었다.

 

정말 흥미로운 어원들을 역사와 함께 만날 수 있어서 너무나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사전을 읽으면서 감동을 받는 묘한 경험을 했다. 재미나고 흥미로운 어원들도 있었지만 우리의 역사만큼이나 아프고 슬픈 어원들이 있어서 가슴 먹먹해지기도 했다. 날이 추워서 그런지 을씨년스럽다.’ 의 어원을 알게 돼서인지 날이 더 을씨년스럽다. 글을 보면 역사가 보인다고 한다. 앞으로의 어원사전에는 유쾌하고 즐거운 단어들만이 추가되기를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