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유대인 - 하버드를 지배한 유쾌한 공부법
힐 마골린 지음, 권춘오 옮김 / 일상이상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공부하는 유대인

힐 마골린 지음/일상이상


   공부랑 거리가 멀 것 같은 한참 나이 먹은 요즘에서야 독서나 공부가 재미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을 만났다. 관심 있는 분야의 책을 통해, 또 TV나 여러 매체들을 통해 정보를 얻고 공부하면서 새삼 공부란 무엇일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배움일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전 세계 모든 나라를 제치고 유대인과 비슷한 선두에 서 있지만 아직도 우리에겐 고민이 많다. 물론 유대인과 우리의 역사적, 문화적 차이, 오랜 전통과 관습의 차이 등이 있으니 유대인보다 우리가 열등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분명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들이 있으며 우리의 교육이 자라나는 미래 세대인 아이들을 좀 더 행복한 삶의 방향으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힐 마골린이 지적한 것처럼 나도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그냥 해야 하니까 경쟁에서 지지 않으려고, 좋은 대학, 좋은 직업을 가져야 하니까 공부했던 것 같다. 그러나 이제는 좋은 대학, 좋은 직업이란 목적을 뛰어넘는 공부가 되야 하지 않을까. 평생 교육, 자기주도적 학습, 글로벌 시대에 보다 성숙한 인간, 평화롭고 행복한 세상,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공부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해본다. 이 책은 KBS 글로벌 대기획 다큐멘터리 <공부하는 인간>의 출연자인 릴리 마골린 가족의 공부법을 밝혔다. 릴리 마골린은 한국인으로 미국계 유대인인 힐 마골린 가족의 입양아이다. 유대인 가정의 전통적인 공부법을 통해 행복하게 공부하고 하버드대학교 졸업 후 스스로 자신이 선택한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일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인인 두 아이를 입양하고 키운 경험과 함께 유대인의 공부법의 배경인 유대인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고 이제는 글로벌 인재를 넘어 미래 인재로 우리의 자녀들을 교육하기를 권한다.


   핀란드교육도 어떤 면에서는 비슷하다. 선진국 사이에 낀 작은 나라, 극한의 환경에 놓인 그들도 ‘우리 아이들 중 한 사람도 버리고 갈 수 없다.’란 생각으로 교육한다고 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소중한 것이다. 유대인도 함께 하는 교육,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각기 다른 재능을 소중히 여기면서 자유롭게 토론하고 대화하는 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것 같다. 분명 우리가 배워야 할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