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가르고 치다 - 난장과 끝장의 교사 욕망 분출기
김준산 지음 / 네시간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교사, 가르고 치다

김준산 지음/네 시간


  인류 시작과 함께 시작된 교육, 생존을 위한 단순한 이치나 원리를 습득하는 것에서 품격 있는 삶, 질 높은 삶, 차원 다른 삶을 위해 교육에 집중하고 부단히 애를 써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과 당시 가치관을 수용한 교육을 하기에는 난관이 너무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특히, 정치권력은 통치에 유용한 특정 틀에 맞추어 우겨넣거나 나약해진 민중의 의지를 꺾어 벽돌 찍듯이 입맛에 맞는 수동적인 인간을 만들어 왔다. 그 당시의 교육은 권력의 시녀 노릇을 유연하게 잘 감당하여야 하며, 기대 효과를 충족시키기 위해 속셈을 감추고 그럴듯하게 포장하는 변장술도 동원되어야 했다. 곧 인간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목적을 위해 수단 따위는 안중에도 없는 획일적 교육이 주류를 이루어왔던 슬픈 역사를 안고 지친 발걸음으로 지금까지 걸어왔다. 

  이 책에서 말하는 교육의 핵심은 주체에 대한 논의이다. 교육 주체에 대한 단정적 의미는 교사로 한정된다. 교육의 문제는 교사이기에 문제 해결 역시 교사가 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교육에 대한 명확한 철학을 가지고 열정을 품고 노력하지 않는다면 우리 교육의 미래는 없다고 강조한다. 또한 시대를 바라보는 명확한 눈과 아이들을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를 요구한다. 직업적인 교사도 아니고 전문가 집단도 아닌 순수한 교사 자체이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의식 없는 교사에게서 나오는 지식은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하며, 변화에 주저하는 교사는 더 이상의 영향력을 나타내지 못한다고 말하고 있다. 전반부에서 학교 조직이 안고 있는 문제를 조목조목 밝히면서 개혁을 외치며 핏대를 세우고 있다. 제도나 체제가 안고 있는 문제가 심각하지만 더 큰 문제는 타성에 젖은 순응적 태도라고 노골적이며 거칠게 항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교사는 더 이상 좌시해서는 안 되며 스스로 내면적 개혁을 촉구하고 있다. 교육이라는 버거운 짐을 내려놓고 보다 서로 협력하고 지고 가야 할 교사의 책무성도 아울러  제시하면서 청춘을 머금은 파란(?) 교사로 살아가기를 당부하면서 갈무리하고 있다.

  너무나 힘겨운 세상에, 다변화 시대에 교사로 산다는 것이 참 버거워 보인다. 그래도 교사가 바로 서지 않으면 우리에겐 미래가 없다는 누구나 다 알고 있다. 5%의 특권층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전체를 아우르고 품어야 할 교육으로 분명 바꿔야 한다. 개성을 존중하고 특기를 인정하는 교육 시스템으로, 미래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으로 변모되어야 한다. 그러기에 우리에겐 지금 혁신이 필요할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