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별로 배우는 통합형 세계사 교과서 1 통합형 세계사 교과서 1
알렉스 울프 지음, 김민수 옮김 / 빅북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통합형 세계사 교과서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세계사 교과서라면 세계 문명을 상징하는 파르테논 신전이나 로마 원형 경기장을 표지로 장식한 전형적인 모형이 떠오르곤 한다. 물론 이 책을 들어다 보기 전 교과서라는 타이틀이 주는 딱딱함과 정형화된 레퍼토리가 주는 그 식상함을 어떻게 극복할까 하는 과제를 먼저 주었다. 세계사를 배우면서 로마나 그리스 문명이 세계사의 주류로 인식되었고, 흥미를 끌만한 여러 요소를 지녔던 까닭에 주목을 했던 게 사실이었다. 그러고 보면 아메리카나 아프리카는 내가 배운 세계사에서 자리를 잡지 못했고 다만 동남아시아나 동북아시아는 민족적 친밀감이 작용하여 간간히 되새김질이 되기도 한다.

세계사가 서양사 중심으로 이해되었고 근세 이후 고도의 문명사회로 진입한 서양 역사마저도 강대국 위치를 확보했다는 것이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기게 한다. 변방 국가들은 역사 속에서도 소외되었고, 그 흔적들마저도 미미하다. 결국 역사 기록이 정복 국가 중심이었고 제국의 힘이 역사 기록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다고 판단이 된다. 이 책에 드러난 특징 가운데 변방 국가에 대한 역사를 할애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가 예전에 배웠던 역사와 또 다른 면이다. 중남미나 아프리카가 미개 부족으로 치부되었던 것은 우리의 무지와 무관심으로 인한 철저한 역사 왜곡이다.

역사는 재평가되고 재해석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특히 우리의 무관심 속에 사장된 역사도 다시 들추어 살펴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양과 서양, 중심과 주변 국가들에 대한 차별적 역사관이 있다면 다시 올곧게 펼쳐봐야 하겠다. 세계사는 하나의 학문이다. 야사나 무용담으로 이해될 부분이 아니라 냉철하게 평가하여 오늘날의 거울로 삼아 인류 발전의 초석이 되어야 할 분명한 이유가 있다. 그러기에 편중되고 왜곡된 역사가 무가치한 것이며 휴지 조각에 불과한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세계전도처럼 정확하게 구겨지지 않은 역사 교과서를 한번 읽어보면서 그릇된 역사 이해를 잡아보기를 권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