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으면서 나도 효재처럼 살고 싶다는 생각을 잠시 했다. 그러나 뒤이어 떠오르는 생각. 정말 그렇게 살라고 하면 살 수 있을까? 나 혼자 밥차려 먹는 것도 귀찮아서 집에선 대부분 라면으로 해결하고, 귀차닌즘의 대가라 자칭하며 손 가는 일은 질색인데 말이다. 보는 것은 좋은데, 타인의 삶이 아름다워보여 잠시 욕심이 고개를 들지만 정말 보는 것만으로 만족해야겠다. '효재처럼 살아요'는 이 책이 나오기 전에 나왔던 '효재처럼'과 '효재처럼 보자기 선물'이 적당히 섞여있는 듯한 느낌이 강하지만 그래도 나쁘지는 않다. 한 여인의 살아가는 삶은 이쁜 사진과 더불어 간단하게 에세이 형식을 빌어 쓴 글들이 마음에 와닿기도 하고 이쁘다. 정말 보는 이로 하여금 그렇게 살고 싶다는 갈망이 든다. 자신의 삶을 가꾸며, 내면을 가꾸며, 사람을 사랑하며 그렇게 살아가는 모습이 보는이도 아름답게 만들고 살며시 미소짓게 한다. 맑은 햇살처럼, 수줍은 듯 피어난 소담스러운 국화같은 미소 속에 아픔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잠시 스쳐지나간다. 기인과 살아가는 아픔이라고 할까? '받아들이고 나니 편안해졌다'라는 그 짧은 문장에서 받아들이기까지의 아픔을 알 수는 없지만 어찌 없었겠는가 말이다. 그렇다 할지라도 짐작할 수 없는 그 아픔까지도 아름답게 승화시켜낸 모습이 부럽다. '효재처럼 살아요' 나도 효재처럼 살고싶다. 결코 쉽지 않을 것 같지만 말이다
생일 선물로 받은 장영희님의 '생일'은 단순한 시집이 아니었습니다. 시와 그 시에 대한 짧은 단상을 글로 표현하고, 그 글과 시에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이쁜 그림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책입니다. 이젠 고인이 되어 버린 장영희님은 서문에서 이 책을 '세상에서 제일 아름다운 책'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책장을 펼쳐보면 그 말에 공감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길지 않은 글 속에 삶에 대한 따뜻함이 베어나옵니다. 어찌도 글을 이렇게 잘 쓸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절로 하게 됩니다. 부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찌 어른이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나하는 생각도 절로 듭니다. 글과 그림이, 그리고 시가 보는 이의 마음을 맑게, 깨끗하게 씻어 내리는 듯 합니다. '사랑이 내게 온 날 나는 다시 태어났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이 말을 깊이 새겨봅니다.
제목이 맘에 들었다. 그것도 많이.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왠지 슬픔이 묻어나는 듯 애잔한 느낌 속에 깊은 고독이 느껴진다고나 할까? 사랑의 감정을 7가지로 나누어 그림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참으로 절묘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림을 소개하고 그림에 얽힌 이야기를 하고 그리고 저자의 생각을 말하는 방식이다. 1. 그대와 나 사이에 강이 흐른다 2. 사랑을 사랑한다는 것 3. 그때 하늘은 얼마나 푸르렀던가 4. 당신과 함게 할 수만 있다면 5. 사랑하다 파멸할지라도 6. 더 이상은 참을 수 없어요 7.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무슨 시 제목 같지 않은가? 사랑의 시작에서 끝까지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잘 표현한 듯 하다. 어쩜 그에 딱 걸맞는 그림들이 이리도 많은지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깊은 슬픔과 고독이 느껴젼다고 했던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나의 느낌이 틀리지 않았다. '이곳엔 아무것도'라는 부제와 함께 실린 안젤리카 카우프만의 <테세우스에게 버림받은 낙소스 섬의 아리아드네>는 사랑의 비정함에 대한 극치를 보여주는 듯 하다. 자신의 사랑을 이용한 후 무참히 버려져 버린 여인의 모습이 어찌보면 평온해 보이기까지 하지만 배반당한 사랑의 슬픔을 한껏 참아내고 있는 여인을 담아내고 있는 그림. 정말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제목을 다시 한번 읊조려본다. 명화 속에서 찾은 사랑이야기를 보면서 나도 그 사람이 아팠다.
하늘 높이 뛰고 있는 케이트는 백혈병을 앓고 있습니다. 그로인해 가족들의 삶은 모두 케이트에게 맞춰져 있지요. 염마는 변호사를 그만두고 케이트을 살리겠다는 신념 하나로 살아가구요 오빠 제시도 마땅히 자신이 받아야 할 사랑과 관심을 동생에게 고스란히 빼앗겼지만 아무런 말 한마디 하지 못하고 그 외로움과 소외감을 견디며 동생을 향한 사랑을 전하지요. 막내 안나의 삶도 마찬가지구요. 언니에게 아낌없이 주는 나무의 삶을 살아가죠. 묵묵히 가정을, 가족을 지켜나가는 아빠의 마음도 아리기만 하구요. 사랑하지만 희생이라는 이름으로 가족은 갈등하고 화해하고 또 사랑하는 모습을 보여주지요. 여기서 끝났더라면 여느 영화와 다름없는 시한부 인생을 주제로 한 식상한 영화로 끝나버렸겠지만 아낌없이 주는 나무의 삶으로 태어난 안나가 부모를 향해 소송을 제기하네요. 자신의 몸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겠다는 거죠. 언니의 병 때문에 언니를 살리기 위해 마춤형 아기로 태어난 안나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자신이 줄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언니에게 주었던 거지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충분히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젠 그러지 않겠다며 변호사를 선임해 소송을 건 안나때문에 엄마와 아빠는 당황할 수 밖에 없죠. 이 소송은 이긴다 하더라도 상처를 남길테니까요. 영화는 엄마와 딸을 갈등 속에서 진정한 사랑의 이름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제시하네요. 무조건 엄마의 뜻에 따라왔던 아빠의 결단으로 가족은 바다로 여행을 가기도 하고, 외로움으로 방황하는 제시의 모습을 통해, 딸을 잃은 판사의 깊은 슬픔을 통해, 이 곳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 장치를 활용해 사랑이란 손 안에 쥐고 있는 것 만이 최선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싶은 듯 하네요. 잔잔히 흘러내리는 눈물 속에서 영화를 반전을 꽤하고 사랑하기에 떠난다는 유행가 가사를 떠올리게 하네요. 사랑하기에 놓아 주어야 할 때도 있다는 것을... 죽어가는 자신때문에 같이 죽어가는 가족들을 보는 것이 마음 아픈 케이트가 엄마를 향해 말하네요. 지금가지 삶아 온 삶만으로도 축복이었음을 그리고 놓아주는 것도 사랑이라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