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바라보기
김용호 지음 / 좋은땅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통문화 바라보기

 

김용호 칼럼집

 

 

전통문화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예를 들어

BTS 방탄소년단이 선택한 한복 , 한국관광공사 한국 홍보 캠페인

광고 음악으로 귀에 익은 범 내려온다 ~ 범이 내려온다! ”

를 떠올리면 ,쉽지요~

일상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면 유치원 베베시절 사물놀이, 장구를 배우고 또 초등학교

중학교에서 단소악기 배웠던 것도 생각날 거예요.

 

< 전통문화 바라보기 >를 읽으면 바로 이럿케 가까이에 있는 것을 새롭고도 제대로

다양한 여러 가지를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전통문화 가치 창조

전통문화 수용과 순환

우리의 전동문화유산

 

세 파트로 구분 되지만 순서에 얽매이지 않고 관심 있는 파트, 시선 콕 되는

끌림 있는 칼럼부터 선택해서 읽어도 무방합니다.

 

자칫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것을

지역의 생활풍습과 사는 모습이 녹아있는 ,

시대의 흐름 역사 속 이야기 , 개인의 추억이면서 우리 모두가 공감했던 또는 기억하는

시사 이슈의 조각들이 연결되기도 하면서요.

 

아주 오래전 판소리 명창 박동진 선생의 제비 몰러 나간다! 우리 것은 소중한 것이여~ ”

하던 광고가 기억나네요. 또한

진도, 여행 갔을 때 가장 인상 깊었던 소포리 . 섬이라는 지리적 조건으로

바다를 먼저 떠올리는것과 다르게 농사를 지으시는 비중이 높아서 놀랐던!

마을 주민분들이 농악 과 소리를 하시는데 너무너무 멋지시더군요. 여행객들도 함께

어우러질 수 있게 하는 자연스러움과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따스한 이 지금도 선명해요.

최근 수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물결을 이룰 때 퓨전 국악 오디션 조선판스타 라는

프로그램도 뻬 놓을 수 없구요. 남녀노소 세대를 아우르는 장르로 자리매김하는 국악의

매력은 점점 더 커져갑니다. 다른 국가에서 탐을 내는 우리나라 대한민국 전통유산.

 

한편으로 아쉬운 한 조각으로,

개정된 교과서에 국악의 비중이 줄어드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초중고교 음악시간에 국악을 좀 더 알려주고 가르쳐주고 배울 수 있어야 하는데...

 

 

 

대한민국 헌법 제 1장 중

9 국가는 전통문화의 계승ㆍ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야 한다.

 

 

 

지역의 특수성은 한국 전통공연예술의 세계화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이 되며,

고유한 우리 문화유산의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국가의 품격을 높이는 중요한

핵심이 될 것이다.

p17

 

 









 

#김용호칼럼집

#전통문화바라보기

#전통문화가치창조

#전통문화수용과순환

#우리의전통문화유산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활용 작성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