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8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고대 이집트 똑똑 세계사 시리즈
제임스 데이비스 지음, 김완균 옮김 / 책세상어린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똑똑!!

이번엔 고대 이집트에 대해 알아볼까요? 고대 이집트는 정말 많은 이야기가 숨어 있는 도시 같아요. 사막지역이라 물이 귀하고 무덥지만 나일강 유역에 물줄기 따라 자리잡아 터전을 마련했대요. 그들은 가족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했다니 요즘과 크게 다를게 없는것 같아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먼 미래의 우리를 위해 어떤 발명품을 만들었을까요? 바로 우리와 아주 밀접한 생필품들이예요. 달력과 치약, 그리고 미라를 발명했어요. 그들은 죽음에 대해서도 좀 특별했어요. 죽음은 곧 또다른 삶과 같아서 다른 세계로 떠나는 여정을 준비한답니다. 대체 뭘 준비할까요? 사후세계로 가기 위해선 특별한 의식이 필요해요. 어떤 의식일까 궁금하지 않나요?그들이 미라를 만든 이유는 죽고 나도 사후세계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예요. 사후세계로 여행을 떠나려면 몸이 있어야 하니 시체를 보존하기 위해 무려 60일 동안이나 처리과정을 거쳐 미라를 만들었다니 그 정성이 정말 대단하지 않나요?



이집트 사람들도 그리스 사람들처럼 자신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대요. 파라오, 전쟁, 신화 기도등에 관한 이야기들인데 그들은 특이하게도 상형문자를 사용했어요. 그렇다면 그림으로 된 상형문자를 우리는 어떻게 읽을수 있었을까요? 그건 바로 상형문자를 읽을 수 있는 비결이 적힌 비석이 있었답니다. 고대 이집트 문자와 그리스문자가 나란히 적혀있던 이 비석은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문자를 해석해서 암호를 다 풀어버렸어요. 어때요? 진짜 대단하지요^^ 이 비밀이 적힌 비석을 로제타석이라고 하는데 지금도 영국 런던에 있는 대영박물관에서 잘 보존하여 전시하고 있다고 해요.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뭘 먹고 살앗을까요? 지금처럼 맛있는게 많지 않았지만 그들은 직접 채소를 기르고 고기를 사냥해 먹기도 했어요. 더 재미있는건 이집트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가 바로 맥주라는거예요. 그들은 날마다 맥주를 마셨대요.^^ 대체 맥주 만드는 방법을 어떻게 알아냈을까요?

이집트 최고 왕을 파라오라고 하는데요. 그들에게는 파라오와 함께 통치를 하는 위대한 왕비가 있었어요. 지금과 같다면 영부인이겠지요^^파라오가 죽고나면 그들은 직접 나라를 다스리기도 했대요.특이한 점은 이집트에 정말 많은 신들을 섬겼다네요. 대다수는 인간의 형상을 한 동물의 모습이었대요. 신들이 자신들의 삶을 통제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들을 행복하게 하는 일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했대요. 신을 화나게 하면 어떤 보복이 올지 두려워 지레 겁을 먹었나봐요.

이외에도 이집트에 대한 심비롭고 재미난 이야기가 엄청 많아요. 미라를 만드는 방법과 이집트의 거대한 무덤 피라미드의 비밀 등 그리고 피라미드 내부구조와 그안에 함께 들어간 보물들의 흥미로운 이야기가 가득하답니다.

우리 똑똑 세계사 고대 이집트를 통해 더 재미난 이야기를 만나보는게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대 그리스 똑똑 세계사 시리즈
제임스 데이비스 지음, 김완균 옮김 / 책세상어린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그리스의 역사라면 밤을 새서라도 다 읽을 수 있는 흥미롭고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많아요. 똑똑 세계사에서 나온 고대 그리스편은 어려울수 있는 역사를 전혀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읽을수 있는 멋진 그림동화책입니다.


그리스는 고대 세계에서 아주 중요한 장소였고 지혜로운 철학자들이 문명을 꽃을 피운 멋진 도시입니다. 그들은 많은 발명품과 공예품, 그리고 이야기들로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멋진 역사를 전해주고 있어요. 고대 이집트와 거래를 한 그리스인들은 그들의 영향을 아주 많이 받았습니다.



그리스 사람들이 남긴 많은 글 덕분에 우리는 그들에 대해 많이 알수가 있었지요. 특히 신화, 법률, 이야기가 전해졌고 그 중에서도 서사시는 영웅이 겪은 이야기나 전쟁등이 담겨있어 현대의 사람들은 초대형 영화를 만들기도 하지요. 그리스 사람들은 연기하는 것도 아주 좋아해서 매우 큰 극장이 있었고 많은 사람들이 연극을 관람하기도 했답니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와서 잘 보이지 않는것을 보완하기 위해 연기자들은 큰 가면을 써서 자신의 역할을 알리기도 했다는군요.




그리스 사람들은 삶을 사랑했고 자신들의 역사와 이야기들을 기록하고 싶어했답니다. 그래서 개발한것이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알파벳이라고 하니 깜짝 놀랄일이었어요. 그들은 이 문자를 이용해 숫자도 만들었답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수학기호나 계산법.알파벳 등은 처음 그리스 에서 생겨난거라구요.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은 늘 전쟁을 했어요. 아테네와 스파르타는 27년 동안이나 전쟁을 했다니 아기가 태어나서 성인이 될때까지 그 피나는 전쟁을 계속했다고 하는군요.특히 페르시아인들이 그리스를 침공햇을때 그들은 똘똘 뭉쳐서 나라를 지켜냈어요. 수많은 도시국가들의 존재는 늘 고집스러워 이를 하나로 통일 시킬 왕이 필요했어요. 바로 그분이 알렉산드로스 대왕이랍니다. 한동안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였다니 정말 대단한것 같아요.

이외에도 흥미롭고 재미난 이야기들이 너무너무 많아요^^ 이 지혜로운 사람들이 살았던 이야기를 책으로 한번 만나보면 어떨까요?똑똑 세계사에는 아주 친절한 그림과 설명들이 가득하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 A Year of Quotes 시리즈 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로라 대소 월스 엮음, 부희령 옮김 / 니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내 삶의 무한의 일부인 봄을 기꺼이 맞으며 봄처럼 삶에도 새로운 일이 일어나기를 바란다.

베란다 밖으로 봄이 성큼 다가왔음이 보인다. 긴 겨울동안 어딘가에 숨어있었던건지 흔적도 보이지 않던 새들이 짝을 지어 날아다니고 강변을 따라 걷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그들의 옷차림 또한 가벼워 한결 봄을 느낀다.

한번도 해 본 적이 없는 일에 도전할 수 있기를!

한번도 해 본 적이 없는 일을 견딜 수 있기를!

1852년3월15일의 일기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봄. 소로는 뭔가 새로운 일들이 일어나주기를 기대한다. 나 또한 봄을 맞아 새롭게 정리해야 할것들이 많은데 열어둔 창문으로 들어오는 봄바람이 자꾸 주저 앉힌다.

봄이다. 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대 그리스 똑똑 세계사 시리즈
제임스 데이비스 지음, 김완균 옮김 / 책세상어린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똑똑!

이번엔 고대 그리스를 알아볼꺼예요. 그리스는 고대 세계에서 아주 중요한 장소였고 지혜로운 철학자들이 문명을 꽃을 피운 멋진 도시입니다. 그들은 많은 발명품과 공예품, 그리고 이야기들로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멋진 역사를 전해주고 있어요. 고대 이집트와 거래를 한 그리스인들은 그들의 영향을 아주 많이 받았습니다.


그리스에는 유명한 신화가 많아요. 특히 판도라의 상자는 열어보지 말아야 할것을 열어 세상에 나오지 말아야 할 것들이 모두 튀어 나와 온 세상으로 퍼져 나갔죠. 판도라가 재빨리 문을 닫앗지만 이미 때는 늦었어요. 다행히 뚜껑이 닫히기 전에 어떤 벌레 하나가 나왔는데요. 대체 뭘까요?


고대 그리스는 우리가 궁금해 하는 흥미롭고 다양한 이야기들이 가득가득 숨어있는 재미있는 그리스의 역사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 A Year of Quotes 시리즈 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로라 대소 월스 엮음, 부희령 옮김 / 니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울의 마지막 조각이

흩어지는 것 같다!

매일 읽는 헨리데이비드소로는 날짜에 맞추어 매일 읽도록 그의 저서 월든과 시민불복종 중 명문장만 간추려 읽을수 있도록 만들어 둔 걸작이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자연을 예찬하며 이를 시처럼 아름다운 언어들로 만들어 표현한다. 시계보다는 해를 따라 시간을 알아보고 계절이 활기차게 돌아가는 순간을 아름답게 표현해 두고는 했다.

때마침 오늘 날짜의 글을 읽어본다. "봄 들어 첫 참새!" 자연예찬론자 소로의 감성 가득한 글귀가 살금 다가온 봄을 발견하고 감탄사를 연발한다. 시간만 다르고 같은 환경을 바라보는 나도 감탄 중이다. "꽃이 폈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8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