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정 글쓰기 - 임상심리전문가가 알려주는 치유와 성장의 글쓰기 6단계
이지안 지음 / 앤의서재 / 2025년 7월
평점 :

복잡 다양한 스스로의 감정을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처리하고 있을까? 어떤 사람은 자신의 감정을 거침없이 표출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꽁꽁 마음속에 숨겨두고 애써 회피하기도 한다. 속상한 일에 과하게 몰두하는 것도 문제이겠지만 스트레스 가득한 상황을 제대로 대처하지 않고 방치해두는 것 역시 우리를 쉽게 소진시켜버린다고 하니 감정 글쓰기를 통해 제대로 배워 봐야겠다,
감정을 억제하면 자율 신경계 각성이 높아져 생리적 심리적 에너지가 소모되고, 면역체계에도 영향을 미쳐 쉽게 피로를 느끼고 질병에도 취약해집니다.
감정 글쓰기는 이럴 때 마음속을 헤집고 흔드는 불안한 감정을 꺼내놓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복잡한 감정을 타인에게 털어놓고 서로 간에 부정적 기운을 가지기보다 내 감정을 오롯이 들여다보며 정리해 보고 숨겨진 또 다른 욕구를 발견해 내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스스로의 감정을 잘 다루어 낼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총 6단계의 감정 기록 법을 통해 스스로의 마음을 알아차리고 돌보는 방법을 제시한다. 감정 일기 쓰기 전에 먼저 알아야 할 것들과 단계별 일기 쓰기 방법을 익혀보도록 하자.
첫 번째 단계는 그때의 감정 상황을 촬영하듯 기록해 보는 것이다. 육하원칙에 따라 최대한 자세하게 기록하다 보면 상황이 이해되기도 하고 좀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어 균형을 찾을 수 있다.
심리학에서 말하는 '관찰하는 자기'는 자신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는 내면의 시선을 의미합니다. 이 관점에서는 감정의 소용돌이 속으로 뛰어들거나 생각에 휘둘리기보다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조하듯 바라보게 됩니다. 결국 자신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글을 쓸 때 나의 판단에 주력해 기록하는 것은 지양할 점이다. 예를 들어 K라는 친구는 내 말에 관심이 없고 나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라는 표현은 주관적인 해석이다. 내가 느낀 해석을 쓰다 보면 분노가 증가되어 정확한 상황 묘사가 어렵다. 객관적으로 K는 내가 말할 때 핸드폰을 만지고 말하는 도중 화장실에 갔다. 섭섭하다는 정확한 감정 묘사가 필요하다.

감정 일기 쓰기가 점점 익숙해지면 툭하면 뱉어내는 "짜증 나"라는 감정 대신 상황에 따른 적합한 감정의 단어가 도출된다. 친구가 약속을 어기면 '서운한' 감정, 애써 작성한 보고서가 반려되었을 땐 '실망스러운' 감정, 야근이 며칠째 지속될 때는 '지친' 등의 감정으로 표현할 줄 알게 된다.

감정을 정확히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나 자신에 대한 감정 변화가 명료해지고 기록하는 것만으로도 스스로 마음 상태를 정리하는 계기가 된다. 무엇이 싫고 어떤 점이 좋은지, 어떤 생각으로 인해 내 기분이 처진 건지, 진짜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나갈 수 있는 소중한 학습이 된다.
글을 잘 쓰려고 하기보다 이 과정을 통해 나 자신을 좀 더 깊이 알아가고 내가 어떤 포인트에서 화가 나고 어떻게 대처해왔는지,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미래의 나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결국 감정 일기를 통한 글쓰기 과정은 진짜 나를 발견해 나가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남의 감정만 살피다 정작 내 마음은 몰라 혼란에 빠지지 말고 글쓰기를 통해 정말 나 자신이 나아가고 싶은 방향을 찾을 수 있길 바란다.
출판사 지원도서를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