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녀를 지키다
장바티스트 앙드레아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자유롭게 하늘을 나는 게 꿈인 귀족 가문의 소녀 '비올라'와 신체적 결함 속에서도 미켈란젤로 보다 위대한 조각가가 되기를 바라는 왜소증 '미모'의 우정이 담긴 감동적 소설, 이 책 『그녀를 지키다』는 장 바티스트 안드레아의 네 번째 장편소설로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인 콩쿠르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영화감독과 시나리오 작가여서인지 그의 소설은 독자가 읽으면서 머릿속으로 장면 하나하나 영상이 그려지는 작품이었다.
이야기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사크라 수도원에서 시작된다. 뭔가를 분명 알고는 있지만 누구 하나 입 밖으로 꺼내지 않는 비밀을 간직한 수도원의 지하에는 바티칸이 엄명한 가운데 피에타 석상이 은폐되어있다. 피에타 석상이 왜 감춰져야 하는지 그 비밀스러운 이야기는 석공 미모에게서 시작된다.
왜소증으로 태어난 미모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삼촌, 석공 알베르토에게 맡겨진다. 그는 나름 비틀린 방식으로 정직했으나 미모가 지켜보기에는 그가 얼간이라고 생각했다. 알베르토의 술주정과 폭력은 고스란히 미모에게 전해졌고 미모는 스스로 늘 혼자였고 아무것도 없다고 느꼈지만 자신이 불행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 나타난 극단적인 전체주의적 정치 이념, 자유주의를 부정하고 폭력적인 방법에 의한 일당 독재를 주장하며 지배자에 대한 절대적 복종을 강요하는 이탈리아의 시대적 배경은 또 다른 주인공인 오리시니 가문의 딸 비올라를 통해 잘 드러나진다.
그 시대, 여성이라는 한계에 묶여 꿈을 이루지도 못하고 가족들의 이익을 위해 희생해야만 하는 비올라와 신체적인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미모는 같은 날, 같은 해, 같은 시에 태어난 인연이다. 각자 자신들이 가진 한계를 뛰어넘어 둘은 서로의 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도하며 함께 희망을 꿈꾼다.
우리가 시간과 공간을 가로질러서,
우리를 능가하며 그 무엇도
절대 부술 수 없는 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거란 말이지.
이 책을 읽다보면 영원한 건 절대 없으며 간절히 기도하면 이루어진다는 말이 떠오른다. 무솔리니의 처형과 파시즘의 붕괴, 거대한 지진에 의한 가문의 파괴, 구세대의 몰락 그 가운데 신체적 불리함 속에서도 자신만의 실력과 노력이 담긴 피에타 석상은 미모의 파란만장한 삶과 비올라에 대한 애정이 고스란히 담긴 사랑의 형상과도 같다.
사회와 가족, 끊임없는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각자가 원하는 삶의 방식을 찾아 나가는 모습에서 어쩔수 없이 주어진 상황을 받아들이며 순리대로 살아가는 방식은 어리석음을 일는다. 막연한 두려움에 어차피 안될거라며 미래의 꿈을 포기하기보다 한계가 오더라도 부딪혀 끝까지 가다보면 스스로가 찾아온 본인의 모습을 언젠가는 만나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이 책을 통해 읽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