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형제의 병원경영 이야기 - 대기업도 주목하는 서비스경영 1위 선병원 삼형제의 병원경영 이야기
선승훈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삼형제의 병원경영 이야기’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 대전 유성에 자리잡은 ‘선병원’은 명실공히 대한민국 의료기관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다. 감히 비교하기 힘든 실력자를 ‘고수’나 ‘명인’이라는 이름을 붙이듯이 ‘선병원’에는 ‘최고’라는 수식어를 붙여야 할 것 같다.

경영학을 공부한 저자 선승훈은 시티뱅크에 입사하여 탄탄대로 미래가 보장되어 있는 직장인이었으나 선친이자 선병원의 창업자인 고 선호영씨는 병원을 운영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그는 모든 것을 내던지고 33세의 나이로 병원경영을 위해 대전으로 내려온다. 그가 처음 한 일이 리모델링이었던 점을 볼 때, 그는 환자가 편하고 직원이 근무하기에 좋은 환경의 병원을 보여주고, 병원이기에 소독약 냄새가 풀풀 풍기고 조금은 불결해도 괜찮다는 고정관념이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
 
그 이후, 그는 직원교육과 의사섭외에 이르는 모든 병원관련업무를 최고급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한다. 치과의사인 동생과 가톨릭 대학병원에서 정형외과 전문의인 형을 설득하여 병원에 데려오는 장면에서는 ‘이 모든 일련의 과정은 이미 저자의 선친이 생각한 시나리오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의 병원경영방식은 일반 기업이 지향하는 목표모형과 흡사하지만 병원의 특성상 ‘환자’를 대한다는 점이 다르다. 고객인 ‘환자’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인 의사와 병원직원이 이류가 되어서야 일류 서비스가 나올 수 없다는 생각에 그들을 가족이상으로 대우하는 경영방침을 세웠고 그 중심에는 ‘진심’과 ‘사람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었다.

그가 세운 핵심가치인 ‘배려 Consideration' '열정 Passion' '절제 Restraint'는 이 책을 요약할 수 있는 키워드이다. 환자와 직원에 대한 배려, 최고를 위해 과감하게 교육에 투자하고, 최고의 서비스를 위해서라면 몸과 돈을 아끼지 않는 열정 그리고 환자를 위해 겸손한 자세를 유지하고자 하는 절제를 통해 그는 ’성공한 병원‘ 이야기가 아닌 ’인간을 먼저 생각하는 따뜻한 병원‘ 이야기를 진솔하게 들려주었다.

보통 자기계발서는 후반부로 갈수록 지리한 동어반복적인 글을 남발하기 마련인데, 이 책은 끝까지 애정이 담긴 마음으로 환자를 대하듯 독자를 대하는 그의 애정을 느낄 수 있어 참으로 좋았다.

너무 재밌는 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형제의 병원경영 이야기 - 대기업도 주목하는 서비스경영 1위 선병원 삼형제의 병원경영 이야기
선승훈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삼형제의 병원경영 이야기


‘삼형제의 병원경영 이야기’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다. 대전 유성에 자리잡은 ‘선병원’은 명실공히 대한민국 의료기관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다. 감히 비교하기 힘든 실력자를 ‘고수’나 ‘명인’이라는 이름을 붙이듯이 ‘선병원’에는 ‘최고’라는 수식어를 붙여야 할 것 같다.

경영학을 공부한 저자 선승훈은 시티뱅크에 입사하여 탄탄대로 미래가 보장되어 있는 직장인이었으나 선친이자 선병원의 창업자인 고 선호영씨는 병원을 운영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그는 모든 것을 내던지고 33세의 나이로 병원경영을 위해 대전으로 내려온다. 그가 처음 한 일이 리모델링이었던 점을 볼 때, 그는 환자가 편하고 직원이 근무하기에 좋은 환경의 병원을 보여주고, 병원이기에 소독약 냄새가 풀풀 풍기고 조금은 불결해도 괜찮다는 고정관념이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

그 이후, 그는 직원교육과 의사섭외에 이르는 모든 병원관련업무를 최고급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한다. 치과의사인 동생과 가톨릭 대학병원에서 정형외과 전문의인 형을 설득하여 병원에 데려오는 장면에서는 ‘이 모든 일련의 과정은 이미 저자의 선친이 생각한 시나리오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의 병원경영방식은 일반 기업이 지향하는 목표모형과 흡사하지만 병원의 특성상 ‘환자’를 대한다는 점이 다르다. 고객인 ‘환자’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인 의사와 병원직원이 이류가 되어서야 일류 서비스가 나올 수 없다는 생각에 그들을 가족이상으로 대우하는 경영방침을 세웠고 그 중심에는 ‘진심’과 ‘사람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었다.

그가 세운 핵심가치인 ‘배려 Consideration' '열정 Passion' '절제 Restraint'는 이 책을 요약할 수 있는 키워드이다. 환자와 직원에 대한 배려, 최고를 위해 과감하게 교육에 투자하고, 최고의 서비스를 위해서라면 몸과 돈을 아끼지 않는 열정 그리고 환자를 위해 겸손한 자세를 유지하고자 하는 절제를 통해 그는 ’성공한 병원‘ 이야기가 아닌 ’인간을 먼저 생각하는 따뜻한 병원‘ 이야기를 진솔하게 들려주었다.

보통 자기계발서는 후반부로 갈수록 지리한 동어반복적인 글을 남발하기 마련인데, 이 책은 끝까지 애정이 담긴 마음으로 환자를 대하듯 독자를 대하는 그의 애정을 느낄 수 있어 참으로 좋았다.

너무 재밌는 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나미 아직 끝나지 않은 경고 - 일본 동북부 대지진, 그 생생한 현장기록
류승일 지음 / 전나무숲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저자 류승일씨의 열정에 박수를 보내고 싶은 책이다.

책을 읽는 내내 그는 왜 재앙의 현장을 취재하려고 할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기자라는 사명감과 작가라는 직업의식 때문일 것이라는 자작답안을 작성해 봤지만 왠지 찝찝하였다. 현실적이고 상투적인 그저 그렇고 그런 이유 말고 뭔가 다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정답을 찾기 위해 책장을 계속 넘겼다. 그의 글 속에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많지 않은 글을 정독했다. 책을 덮으면서 분명하지는 않았지만 흐릿하게나마 정답을 찾았다. ‘그는 인간을 사랑했고 세상을 사랑했다’ 가 바로 그 정답이었다.

인류 최악의 비극으로 기억될 일본 동북부 지방의 지진과 쓰나미는 우리가 지금까지 알아왔던 천재지변의 상식을 뛰어넘는 파격적인 비극이었다. 중국 스챤성 지진과 동남아시아의 쓰나미가 하나의 재앙이 가져온 비극이라면 이번 일본의 참사는 지진-쓰나미와 더불어 원자력 발전소 사건이 부가적으로 겹쳐서 일어난 다발성 비극 참사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참사의 한가운데로 뛰어들어 사진을 찍으면서 생생한 현장 속 비극을 전해준 저자의 열정과 고난은 나로 하여금 글 읽기를 힘들게 하였다. 

책을 읽는 동안 일본인들을 유심히 들여다보았다. 어차피 재앙의 중심에서 휘둘리는 것은 인간이기에 말이다. 분명 차분하게 대처할 것이라는 그들 민족성이 보여준 편견을 갖고 접근하였다. 예상한대로 그들은 차분하였고 감정을 속으로 삼켰다. 폭발하여야 할 감정을 속으로 삭히는 그들을 보고 세계가 놀라지 않았던가. 인간인데 어찌 감정을 분출하고 싶지 않겠는가. 무너진 집더미 속에서 기념이 될 만한 물건을 찾고 있는 그들은 일견 사람이 아니었다. 체념이 가득한 흡사 괴기영화에나 나옴직한 유령의 느낌을 받았다. 비극이 크면 모든 것을 툭 놓고 그저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종이인간과 같아지는가 보다는 생각을 하였다.

쵸코파이 하나로 하루의 끼니를 때우면서 저자는 부지런히 그들의 아픔에 동참하면서 취재를 이어갔다. 그러기에 더욱 글과 사진이 가슴에 와 닿았다. 

아픔의 현장을 아픔으로 만든 책이기에 나눔과 공감을 인간의 미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보면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나미 아직 끝나지 않은 경고 - 일본 동북부 대지진, 그 생생한 현장기록
류승일 지음 / 전나무숲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저자 류승일씨의 열정에 박수를 보내고 싶은 책이다.

 


책을 읽는 내내 그는 왜 재앙의 현장을 취재하려고 할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기자라는 사명감과 작가라는 직업의식 때문일 것이라는 자작답안을 작성해 봤지만 왠지 찝찝하였다. 현실적이고 상투적인 그저 그렇고 그런 이유 말고 뭔가 다른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정답을 찾기 위해 책장을 계속 넘겼다. 그의 글 속에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많지 않은 글을 정독했다. 책을 덮으면서 분명하지는 않았지만 흐릿하게나마 정답을 찾았다. ‘그는 인간을 사랑했고 세상을 사랑했다’ 가 바로 그 정답이었다.

 


인류 최악의 비극으로 기억될 일본 동북부 지방의 지진과 쓰나미는 우리가 지금까지 알아왔던 천재지변의 상식을 뛰어넘는 파격적인 비극이었다. 중국 스챤성 지진과 동남아시아의 쓰나미가 하나의 재앙이 가져온 비극이라면 이번 일본의 참사는 지진-쓰나미와 더불어 원자력 발전소 사건이 부가적으로 겹쳐서 일어난 다발성 비극 참사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참사의 한가운데로 뛰어들어 사진을 찍으면서 생생한 현장 속 비극을 전해준 저자의 열정과 고난은 나로 하여금 글 읽기를 힘들게 하였다.

 


책을 읽는 동안 일본인들을 유심히 들여다보았다. 어차피 재앙의 중심에서 휘둘리는 것은 인간이기에 말이다. 분명 차분하게 대처할 것이라는 그들 민족성이 보여준 편견을 갖고 접근하였다. 예상한대로 그들은 차분하였고 감정을 속으로 삼켰다. 폭발하여야 할 감정을 속으로 삭히는 그들을 보고 세계가 놀라지 않았던가. 인간인데 어찌 감정을 분출하고 싶지 않겠는가. 무너진 집더미 속에서 기념이 될 만한 물건을 찾고 있는 그들은 일견 사람이 아니었다. 체념이 가득한 흡사 괴기영화에나 나옴직한 유령의 느낌을 받았다. 비극이 크면 모든 것을 툭 놓고 그저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종이인간과 같아지는가 보다는 생각을 하였다.

 


쵸코파이 하나로 하루의 끼니를 때우면서 저자는 부지런히 그들의 아픔에 동참하면서 취재를 이어갔다. 그러기에 더욱 글과 사진이 가슴에 와 닿았다.

 


아픔의 현장을 아픔으로 만든 책이기에 나눔과 공감을 인간의 미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보면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위당 장일순 - 생명 사상의 큰 스승
이용포 지음 / 작은씨앗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이번에 읽은 이용포씨의 ‘무위당 장일순-생명 사상의 큰 스승’은 종전에 읽었던 ‘좁쌀 한 알’이나 ‘나락 한알 속의 우주’ ‘너를 보고 나는 부끄러웠네’ 와는 다른 각도에서 장일순 선생님을 조명한 책이라 읽는 내내 마음이 푸근하였다. 선생님의 입김을 가까이서 느낄 수 있었고 늘 그렇듯 민초들과의 삶을 강조하신 선생님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1장 교육 운동과 2장 민주화 운동은 선생님의 사상의 뿌리를 볼 수 있었다.

이번 책을 통해 새롭게 안 사실은 선생님의 젊었을 때 호가 ‘청강(靑江)’이라는 것이다. 자연과 같은 삶을 살겠다는 뜻을 담은 ‘청강’은 종래의 저서에서는 보지 못했던 선생님의 호이다. 늘 알고 있었던 호는 ‘무위당’과 ‘일속자’ 뿐이었다. ‘무위당’이나 ‘일속자’에서 느낄 수 있는 여유로움이 사실은 ‘청강’의 호를 썼던 강하고도 혈기가 넘치는 시절의 연장선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의 호 ‘무위당(하는 바가 없다)’은 노자사상을 염두에 두었고 ‘일속자(겨자씨 한알)’는 장자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때로 예외도 있겠지만 대체로 사람들이 이름을 지을 때는 그 이름 안에 자신의 성정(性情)을 담게 마련이다. 선생님이 좋은 것은 바로 이런 자신의 호와 일치하는 삶을 사셨던 데 있다. 특히 이번 저서에서는 선생님이 태어나서 돌아가실 때까지의 삶의 행적을 한 획, 한 획 글로 새긴 작은 평전이다.

이번 책의 핵심은 1장과 2장에 있었고 3장(생명사상)은 다른 저서에서도 많이 언급하는 부분이다.
신격화와 우상화를 위해 신비주의를 나름 전략이나 무기로 삼아 꽁꽁 감추기를 좋아하는 세상에서 이용포씨는 장일순 선생님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다 보여주었다. 특히 선생님과 관련된 많은 사진을 담아 그를 더 가까이서 볼 수 있게 해 주어 더욱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