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에서는
1946년 10월 항쟁 후부터 1948년 8월 정부 수립 전까지
대구·경북 지역의 진보적 사회운동 상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구와 경북의 10월 항쟁이 진압된 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8천여 명이
시위 가담 혐의로 검거되어 재판에 부쳐졌고
가담 정도에 따라 최고 사형까지 선고받았다.
그리고 사건 관련자뿐 아니라 사건과 무관한
민간인상당수가 재판절차 없이 불법적으로 학살되었다.
항쟁 직후의 탄압 여파에서 벗어난 뒤,
1947년에는 미소 공동위원회
속개 요구 투쟁이 전개되었다.
1948년 2월에는 유엔한국임시위원단
UNTCOK파견을 반대하여
2.7 투쟁이 일어났고 뒤이어
5.10선거를 반대하는 남한만의
단독선거 단독정부 반대 투쟁이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는 1946년10월 항쟁에
선도적으로 참여했던 학생과 농민들을 중심으로
대중운동이 전개되었다. 1946년까지
각 부문에서 진행되던 경제 투쟁보다는
분단정부 저지를 위한 정치 투쟁이 강화되었다.
대구·경북 지역은 1946년 10월 항쟁 후 대대적인 탄압이 있었음에도1948년 상반기까지 진보적 대중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즉 주요 핵심세력은 탄압당했지만, 미군정 및 보수세력과의 대결이 전면화하고 전선이 분명해지면서 대중운동이 더 성장한 곳도 있었다. 그러나 미군정의 탄압 때문에 운동의 중심이 점차 도시에서 농촌으로, 평지에서 산지로, 합법투쟁에서 무장투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P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