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싫다는 말을 못 할까 - 삶이 심플해지는 거절의 힘
김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삶을 살아 가다보면 원하지 않는 일을 하게 될 때와 원하지 않은 행동을 당하게 될 때가 의외로 많다. 그때 보통의 사람들은 그냥 권위에 대한 복종이거나 의식화된 어른에 대한 순종이라는 미명하에 그 일들을 억지로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별히 유교 문화권인 우리나라에서는 더더욱 그런 점이 두드러 진다. 

 

저자는 그런 문화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왜 그래야 돼?"라는 의문과 함께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보려고 이 책을 써내려 간다.

그는 "NO"라고 자신의 의사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상태를 '불안과 두려움'이라고 표현하며 '세련된 거절'이라는 방법을 제시한다.

직장에서 자리를 보전해야 한다거나 상사에게 찍히는 것은 피하고 싶은 대부분의 셀러리맨들에게 세련된 거절이라는, 즉 나의 뜻을 상사에게 전달하되 너무 강하지 않게, 너무 직선적이지 않게, 본인의 감정적 지불마저도 감당하며 이야기 하라는 것이다. 

상대방이 방어적이 되어서 마음을 닫아버리기 전에 이렇게 "Please helpme to help you".

 

저자는 또한 마음이 약해 상대방에게 싫은 소리를 못하는 사람들은 반대로 남에게 무엇인가를 해주는 것을 마음 편하게 생각한다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면서 거절훈련의 핵심은 '주는 것'에 있다라고 역설적으로 말한다.

왜냐하면 이런 사람들은 결과에 대한 지나친 염려와 근심으로 인해 자신의 의사 표현에 서툴고 감추려하기 때문이다.

거절을 많이 당해 본 사람은 거절이 두려워 입을 닫아 버리는 경우가 많다.

상대방이 어떻게 반응 할지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고 가슴이 뛰기 시작하며 얼굴이 붉어 지고 숨이 가빠지며 손에 땀이 나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결국은 그 일에 대해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수용하고 받아 들인다.

저자는 이러한 사람들을 향해 "겸손한 질문"이라는 과제를 준다.

문제와 상대방의 요청에 대해 약간의 여지를 만들라는 주문이다.

직접적으로 거절하는게 힘들다면 조금은 피해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으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거절을 훈련하라는 것이다.

 

쉽게 거절하지 못하는 나로서도 이 책을 읽으면서 거절훈련과 겸손한 질문이라는 새로운 길을

발견했고 훈련에 동참해 보려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