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하는 심리학 - 복잡한 내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마음의 법칙
장근영 지음 / 빅피시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아픔도 체면이 있고 자존심이 있다. 출판사 리뷰의 젓 문장이다.

누구나 자존심과 체면 정도는 가지고 있고 지키고 싶어하는

마지노선 과도 같다. 결국 아픔을 어떻게 받아 들이느냐의 문제이다.

일부러 과장 할 필요도 일부러 축소할 필요도 없이 그냥 있는

그대로의 정직한 자세가 좋은 삶의 태도이다.


인생이라는 여정에 아픔은 피해야 할 존재가 아니라 함께 가야할

동반자이다. 하나의 아픔을 겨우 이겨 냈다 싶으면 저 멀리서 또

다른 아픔이 스믈스믈 일어나 걸어 온다. 서핑이 그렇다. 다가오는

파도를 넘었다 싶으면 이내 다른 파도가 덮친다. 파도를 타고 넘는

것처럼 아픔 역시 지나가면 그만인 것인데 우린 그 아픔에 너무

많이 침잠되어 산다. 저자는 아픔을 '나의 영혼을 노크하는 천사의

부름'이라고 부르며 아픔을 가려주는 어두운 곳은 습한 동굴 안에서

과감하게 나오라고 조언한다.


사랑은 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것이라는 챕터와 사랑은 섹스가

될 수 있지만 섹스는 사랑이 될 수 없다는 챕터는 이 시대의 사랑에

대해 지적하며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준다. 정신분석학

적으로 '엄마 찾아 삼만리'였던 희대의 바람둥이 돈 주앙의 이야기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모성성의 의존도에 따른 행동의 다양화를 보여

준다.


삶에 명확한 답은 없다. 대부분 각자의 선택에 의미를 두며 그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할 뿐이다. 내면의 성숙함과 인식이 필요한 이유이다.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히고 인정하고 그것을 통한 또 다른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면 지금 보다 나은 미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