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을 한다는 것은
김보미 지음 / 북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저자의 이력이 특이하다. 무형문화유산 이수자 해금 연주가이면서

세계가 사랑하는 포스트록 밴드 잠비나이 멤버다. 출판사의 소개처럼

어주 오래된 악기로 아주 낯선 음악을 만들어 나가는 뮤지션이다.

어떤 음악인지 궁금해졌고 올라온 음원을 몇개 들어 봤다. 따뜻하다.

처음 접해보는 음악장르인데 낯설지 않다.


국악과 록이라는 가까이 하기 너무 먼 장르의 음악을 소화해 내기

위한 저자의 실험과 노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특히나 해금이라는

악기가 가진 특성상 자신이 원하는 음을 발견하고 찾아내기 위해

얼마나 전력을 다했을지 미루어 짐작이 가능하다. 두 줄 뿐인 악기,

줄을 만지는 손가락과 두 개의 줄 사이에 끼워진 활로 소리를 내는

단순한 구조의 악기인 해금으로 무군무진하고 독특한 소리를 내는

저자의 모습은 경이롭기도 하다. 전통과 미래라는 아득한 세계를

걸어 나오는 소리들은 격정과 절제를 가진다. 격렬하게 몰아치기도

하며 깊고 잔잔하고 폐부를 스며들기도 한다.


시대는 변하다. 그 변화의 흐름은 전통음악도 거스를 수 없다. 변화는

재창조를 의미하기도 한다. 무언가가 사라지고 또다른 무언가로

대체되기도 전혀 다른 무엇으로 확장하기도 한다. 산조라는 전통의

해금 연주도 별반 다르지 않고 저자도 이를 느낀다. 예전의 약간은

거칠고 칼칼(이 표현이 맞는지 모르겠다)한 원색적인 소리에서 얼후나

바이올린과 비슷한 음색으로 바뀌는 추세인데 난 여전히 거칠고

탁하지만 힘 있었던 해금의 소리가 좋다.


남들이 선로하지 않는 악기를 연주한다는 것, 그 악기에서 자신만의

소리를 찾아내고 연마한다는 것, 새로운것에 대한 끊임없는 시도를

생각만이 아니라 직접 몸으로 받아 낸다는 것, 고루함과 지루함이라는

편견에 정면으로 맞선다는 것 모두가 시도이고 변화이다. 지금 저자는

여전히 그길 위에 서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