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읽는 비트겐슈타인 - 20세기 천재 철학자의 인생 수업 마흔에 읽는 서양 고전
임재성 지음 / 유노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공자는 나이 마흔을 일컬어 ‘불혹(不惑)’이라고 했다. 마흔이 되면

주변에 미혹되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잘 절제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런데 마흔이 되면 정말 웬만한 일에 미혹되지 않을까?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 마흔은 인생 중반을 지나는 과도기다. 이시기에

천재 철학자의 조언을 듣는다는 것은 어쩌면 행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 본다.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은 ' '내 언어의 한계는 내

세계의 한계다(The limits of my language mean the limits of my

world)' '라는 말로 언어 마저도 빈부의 차이를 드러낸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이는 연구 결과로 드러났다고 밝힌다. 오래전 학부 수업에서

'언어가 지위를 보여준다'는 강의 내용에 반발감이 강했던 기억이

삶을 살아가며 점점 수긍쪽으로 돌아섬을 보며 인정할 수 밖에 없게

되었던 기억이 난다.


인생이 견딜 수 없게 되었을 때 우리는 상황이 변화할것을 기대한다.

그러나 정작 가장 중요하고 가장 효과적인 변화, 즉 자기 자신의 태도를

바꿔야 한다는 인식에는 생각이 미치지 못한다는 비트겐슈타인의

말처럼 자신이 생각하는 것이 모두 옳다는 착각에서 벗어나 자신이

알고 있는 통념의 틀을 깨는 것, 성공의 시작은 바로 여기서 부터다. 틀에

박힌 생각을 걷어차고 자기만의 새로운 방식을 선택하는것, 고정관념의

벽을 무너뜨리고 이제까지 없던 방식으로 도전하는 것, 이것을 우리는

이노베이션(innovation)이라고 부른다.


비트겐슈타인은 그의 '논리 철학 논고'에서 삶의 의미 또는 실존과

윤리에 대해 이야하는데 그 출발 이 조금은 다르다. 예를 들면 보통

'삶의 의미'기 무엇인지를 이야기하는데 비해 그는 '의미'에 더

집중하여 의미에 대한 규정을 하려 한다. 본질과 비본질의 문제를

넘어서 의미와 존재에 더 집둥한다는 느낌이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자연과학의 명제들이 뜻이 있는 명제이고, 논리학의 명제들은

요소 명제들의 진리함수라는 점에서는 뜻이 있는 명제들과 유사하긴

하지만 뜻을 결여한 명제이며, 요소명제들의 진리 함수가 아닌 명제들은

모두 무의미한 명제들이다. 누군가 그랬다. 비트겐슈타인을 이해하면

철학의 일부는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그런 시간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