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체중 조절이 단순한 칼로리 문제가 아니라 대사와 호르몬의
작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말한다. 다이어트를 하다 보면 일정
시점에서 체중 감량이 정체되는 정체기를 맞이해 더 이상 살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는 몸이 ‘에너지 비축 모드’로 들어가기 때문인데,
이는 대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신호라고 볼 수 있다.
렙틴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 에스트로겐 우세증 같은 대사 관련
증후들이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단순히 '먹는 걸 줄이면 된다'가
아니라, 우리 몸이 그동안 불필요한 것으로 치부되건 지방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사를 회복해야 한다는 말하는 부분은 분명 여타의
다이어트 방법들과 차별화된 부분이어서 인상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