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사회 - 휴머니티는 커피로 흐른다
이명신 지음 / 마음연결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커피를 좋아한다. 그냥 좋아하는 차원을 넘어서 아주 많이 좋아한다.

떄론 커피 중독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커피에 몰입하는 나에게 흠칫

놀라기도 한다. 덕분에 바리스타 자격증도 취득하고 커피 스터디도

몇 번 참석 해 봤다. 누군가 편의점 보다 카페가 더 많다고 하던데

요즘 정말 많이 생기고 많이 사라진다. 이 책은 그런 커피에 대해

이야기한다. 단순히 커피를 맛있게 내리는 방법이나 맛있는 커피

고르는 방법 같은 기술적인 부분이 아니라 사회학적 측면에서

커피에 대해 들여다 보면서 많은 생각거리를 던진다.


저자는 커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한국은 프랑스에

이어 두 번째로 1인당 커피 소비량(약367잔)이 많은 나라다. 세계

평균이 161잔이니 대략 두 배가 넘는다. 매일 커피를 마신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커피를 즐긴다. 요즘은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줄인 디카페인 커피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며 이에

못지 않게 RTD(Ready to Drink)라 불리는 커피를 캔에 담아

판내하는 방식의 커피 음료(우리는 보통 캔커피라고 부른다)의

판매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저자는 커피에 대해 '노동 음료' '생존 커피'라 지칭한다. 커피는 노동

뿐아니라 그냥 일상이고 생활이다. 노동요와 같이 노동의 생산성을

높이기도 하고 각성제와 같이 졸음을 깨우기도 하며 때로는 훌륭한

수다 도구가 되기도 한다. 이 책에는 저자가 소개하는 18가지 커피

음료기 등장한다. 대부분 마셔보았거나 들어 본 커피들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아무리 맛있는 커피를 마셔도 가끔은 노란색 믹스커피가

떙긴다. 저자의 커피 사랑은 그가 전하는 데일리 커피 익스프레스와

커피와 음악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당연히 공정무역 커피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공정무역(公正貿易,Fair

trade )이란, 개발도상국의 농가에게 덤핑 가격이 아닌 정당한 가격을

지불하여 해당 국가의 농민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사회 운동이다. 실제 커피 최대 생산국인 에티오피아 농민들이

5,000원짜리 커피 한 잔으로 얻는 수익이 평균 25원에 불과하다. 물론

공정무역에도 여러 문제들이 거론되고 있긴 하지만 조금이라도 실제

농민들이 더 많은 수익을 가져갔으면 하는 바램을 해본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커피 사회 휴머니티로 흐른다, 모두가 커피 앞에서는

평등하니'는 가치가 실현되는 세상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