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니체의 아포리즘(Aphorism)이 가득한 이 책은 우리에게 삶에 대한

진정성과 가치 그리고 자유와 결정에 대한 간결하고도 날카로운

표현들이 들어 있다. 니체는 자유를 '자기 책임에 대한 의지를 갖는

것'이라고 말한다. 니체의 대표작인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Human, All Too Human)』을 기반으로 한 113편의 글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니체의 '초인(Übermensch)'은 늘 새롭게 다가온다. 니체가 말하는

위버멘쉬는 종교나 신에게 의지하는 주체성 없는 의존적 인간보다

반복되는 역사 앞에서 굴복하지 않고 허무에 결연히 맞서는 사람이고

덧 없는 삶이 무한히 되풀이 되더라도 자신의 굳은 의지와 참된

용기로 비극적 운명마저도 받아들이고 사랑할 줄 아는 인간이다.

위버맨쉬는 비록 오늘도 불안정하지만 꿈을 품고 앞 날을 향해 떠나는

모두를 지칭한다. 비록 한국어로 초인이라 부르지만 니체가 가리키는

바는 '물리적ㆍ물질적인 힘'을 추구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만든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 그 '창조적인 힘'으로 끊임없이 몰아치는

가혹한 삶의 고통과 허무를 매번 노래하고 춤추는 마음으로 극복하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을 말한다. 즉, 삶이 가혹하다고 해서 이상적인 종교나

도덕, 이념으로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혹하고 불합리한 삶을 있는

그대로 마주보고 그것을 극복하는 삶에서 의미를 찾는 사람, 심지어

그 고통을 기꺼이 자신의 성장을 위한 자극제로 삼으려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이육사의 광야에 등장하는 '백마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생각난다.


'아무리 깊은 어둠 속에 있다 할지라도 작은 틈 사이로 비춰 나오는

태양을 추구하라. 절망은 결코 영원하지 않으니' 익히 알고 있던

구절임에도 잠시동안 먹먹해졌다. 이 또한 지나갈 것이고 어둠은 빛

앞에 무력해 질것을 알면서도 우리는 매번 그 고통과 두려움 앞에

좌절한다. 막연한 희망이 아니라 가치 있는 생각과 행동을 통한

희망을 추구하라는 것이다. 그대로 좌절하고 머물러 있지 말고 떨치고

일어나고 한 걸음 내딛으라는 조언이다. 절망은 그 끝이 있기에 우리는

일어 날 수 있고 걸을 수 있는 것이다. 니체는 우리에게 때때로 자신을

상실하고 다시 자신을 발견하는 법을 터득해야 한다고 말한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어쩌면 진정한 초인(Übermensch)을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고통 마저도 자신의 성장의 도구로 사용한

니체의 삶은 나약해진 이시대의 지성들에게 삶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분명히 말해 주고 있다. 떄문에 우리는 니체에 열광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