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정신과 의사 - 아픈 마음과 이별하고 나와 소중한 이를 살리는 법
백종우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울증, 트라우마, 불안, 자살 충동, 조현병... 요즘 우리가 지면이나

방송을 통해 많이 접하는 증상들이다. 선듯 드러내 놓고 말하기도

마음 편히 병원을 방문하기도 꺼려지는 증상을 가진 이들이 주변에

의외로 많다. 이 책은 25년 이상 환자들과 소통하며 얻은 깨달음과

공감, 삶의 경험을 녹여낸 경희대학교 백종우 교수의 저서이다.


먼저 저자는 당신이 우울한 것은 지극히 정상이며 삶을 살아가며

단 한번도 우울하지 않은 것이 오히려 이상한 것이다라고 말한다.

우울증이 심해지면 자살 충동, 조현병, 공황장애 등으로 악화되고

이를 치료할 시기를 놓치면 더 많은 시간의 치료가 필요해 진다.

특별히 저자는 우울증은 뇌가 환자에게 기존 생활 방식을 바꿔

새로운 인생을 찾아가야 한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좀 더 나은

인생을 사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하여 그간 우리가 알고 있던

우울증의 불편한 단면을 새롭게 볼수 있게 한다.


현대 사회는 우울증과 트라우마, 조현병 등 정신 관련 질병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병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 문제이고 사실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의지조차 가지지

않았기에 더욱 취약하다. 성과와 결과 지향적인 사회 문화 속에서

정신 질환 같은 질병은 무관심 내지는 그냥 피해야 하는 질병이

되어 버렸다. 불과 몇년 전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변호사 이야기로

사회가 들썩인 적이 있는데 몇 년이 지난 지금 별로 변한것이 없는

것을 보면 우리 사회가 얼마나 충동적이고 결과 지향적인지를

보여준다. 이렇듯 일시적 충동이 아닌 지속적인 관심과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시급한 일이며 정부의 이시 방편이 아닌 지속적인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 책에 그당시 그 변화사가 관심을 보였던

거대한 고래의 유영하는 장면이 삽화로 들어 있어 시선을 끈다.


생의 경계선에 놓인 이들과 그들을 편견으로 바라보는 사회를 향해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홀로 견디기 어려운 아픔이라 할지라도 옆에서 함께 견

뎌주고지지해 주는 이가 한 명이라도 있다면, 누군가가 살아야 할 의미를

한 자락이라도 부여해 준다면, 우리는 삶을 포기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