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을 위한 고전의 숲 - 삶이 풍요로워지는 여덟 번의 동양 고전 수업
강경희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저자는 '모든 것이 가로막히고, 앞이 보이지 않을 때마다 오래 전

동양 고전에서 오늘의 고민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며

고전은 지금을 살아 가는 우리가 겪는 혼란과 문제를 제어하고

다스릴 실용적인 학문이라고 말한다.


장자를 소개하는 책은 서점의 서가 하나를 다 차지할 정도로 넘친다.

실제 장자는 사마천이 쓴 사기의 한 귀퉁이에 아주 잠깐 소개된 것이

다임에도 오늘날 우리는 '장자'에 열광한다. 기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대상은 사람 '장자'라기 보다는 '장자'라는 책에 적힌 언어이다.

때로는 '의미'보다 '언어' 그 자체가 더 많은 것을 알려 준다.

장자의 글은 언뜻 쉬워 보인다. 그러나 그 쉬움은 결국 오래가지

못하고 이내 그 깊이에 손을 들고 만다. 시간의 차원을 넘나드는

그의 광활함과 공간의 차원을 주무르는 그의 상상력은 가히 혀를

내두르게 한다. 세상의 모든 사물은 시간과 공간 사이에 존재하며

사람들이 지닌 한계는 여기에서 온다. 소요유의 첫 면을 장식하는

'곤'과 '붕'이 그렇고 '영지'와 '매미'가 그러하다. 시간에 대한 유한한

의식은 매일같이 잃어가는 시간과 비례하여 기회와 인연을 지키기

위해 기다리는 만큼 성장하는 것이다.


동양 사상의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논어. 동양 사상가 중

최고라고 인정 받는 공자. '공자의 논어'는 혼탁한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지에 대해 말해준다. 잘

산다는 것 참 어려운 일이다. 공자가 살아가던 시대는 중국의 춘추

시대로 다양한 나라들이 저마다 이해관계로 얽히고 설켜서 전쟁이

끊이지 않는 어지럽고 시끄러운 시대였다. 공자는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과 함께 어지러운 난세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인과 예와 근본을

지키는 것에 있음을 설파하였으나 그는 사상가이지 정치가가 아니기에

뚜렷한 한계를 지녔고 비록 그의 사상과 철학이 난세를 극복하는

정치사상이 되지는 못했지만 그의 사후에 많은 제자들이 현실 정치에

들어가 나라를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인간의 본성 회복이

요원한 작금의 상황 앞에 던지는 공자의 일갈은 매섭다.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


이 책에는 이밖에도 소동파, 사기, 관중, 시경, 주역등의 주옥같은 문장이

들어 있다. 저자의 말처럼 삶이 힘겹고 어려울 때 읽으면 치열한 일상에

그만큼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