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비와 베끼기 - 자기만의 현재에 도달하는 글쓰기에 관하여
아일린 마일스 지음, 송섬별 옮김 / 디플롯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인 아일린 마일스는 미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퀴어문학의 가장

주요한 상인 람다문학상을 수상했고 미국 현대·퀴어 문학계의 '록스타'

시인이라고 불린다. 이 책은 글쓰기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며 깊이

파고드는 에세이집이자 연설문이다.


저자는 글쓰기는 삶의 경험들을 '베끼는 것'이자, '낭비'이면서도 '자기만의

현재'에 도달하기 위한 '끝없는 수행'이라고 말한다. 그는 빌 클린턴과

조지 H. W. 부시가 맞붙었던 대선에서 미국 전역에 적지 않은 파문을

일으킨 인물이며 그에게 보낸 조이 레너드(Zoe Leonard)의 헌시 '나는

이런 대통령을 원한다I Want a President'는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그 시의 내용중엔 이런 글귀도 있다. '우리는 항상 어느

시점에 이르면 대통령이 광대라는 걸 깨닫게 되는지 알고 싶다.'


이 책의 핵심은 베끼기copy다. 저자는 글쓰기의 방법이나 뭔가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지 않는다. 다만 글을 쓰며 떠오르는 생각과 그 생각의

틀을 벗어난 또 다른 생각들을 이야기한다. 글쓰기를 '시간낭비'라고

칭하는저자에게 낭비는 허비가 아니라 자신만의 길을 걷는 과정이며

수행이다. 생산과 결과로 이야기 하는 현대 사회에 대한 무차별적

저항이며 경고의 의미를 가진다. 배낀다는 의미를 단순한 훔쳐오기의

개념으로 볼것이 아니라 삶과 생각과 사상과 활동 전반의 것에 대한

소유권 없음과 가져오기 정도로 봐야 할 것 같다. 동일함이 아닌

낯섦과의 생경한 만남 혹은 초현실주의의 방법인 데페이즈망

(dépaysement전치)의 기법으로 보아야 할것이다.


저자가 글을 쓰는 이유중 하나는 목소리 없는 혹은 덜 가진 이들에게

목소리를 주기 위함이다. 솔직하고 투박하지만 저자의 강렬함과 삶의

굴곡이 그대로 드러난다. 그의 글이다. 솔직히 무슨 의미인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삶의 모든 것이 베끼고 베끼고 베끼는 그런 방식의 연속이라는

의미 같기는 한데 마치 우리의 천재시인 이상의 그것을 보는양

난해하기만 하다. '쓰기와 그리기, 그리기와 쓰기, 베끼고 베끼고 베끼기.

신이여. 신이란 이런 반복에서 발생하는 그 무엇이다. 몇 번이고 되풀이

해서 말이다'


저자는 가난한 자들을 밀어내는 '뉴욕의 아파트 임대정책'이라는 정치·

사회적 경험에서부터 글을 쓰게 됐다고 한다. '우리는 살아 있음과

숨쉬기라는 그 곡선을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풍선 표면이 커졌다고

느낄 때 글을 쓴다'. 책은 작고 얇은데 생각 보다 쉽게 책장이 넘어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