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심을 딛고 믿음으로 - 불확실한 상황에서 하나님을 신뢰하는 법
필립 라이큰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그래서 단호하게 질문을 멈추고 성경을 하나님 말씀으로 받아들이기로

결심했다 p35

나오미가 받은 복은 시작이었을 뿐이다. 113



그리스도인의 의심과 의문을 믿음의 많고 적음의 문제로 봐야하는지는

이미 오래전부터 논란거리가 되었던 질문이다. 실제로 성경 속의 인물

들도 하나님에 대한 의심을 가졌고 그 의심 안에 응답하시는 그분을

만남으로 전진할 수 있었던 인물들이다. 다만 그들은 끝까지 자신들의

믿음을 포기하지 않았고 괴로움과 어려움 속에서 기다리는 믿음을

가졌던 이들이다. 이 책은 그런 이들의 삶의 경험을 이야기하며 의심

가득한 신앙 생활을 하는 지금의 우리에게 '참 믿음'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술한다.


탈봇 신학교 교장인 에드 스테처의 '정직한 의심은 패배가 아니라

기회다'는 말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다. 의심을 세상의 방법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에서 답을 찾고 그 결과로 믿음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됨을 인정한다면 우리의 믿음은 지금보다는 조금은 더 나은 믿음의

모습으로 변화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


오래전 우리는 '하나님의 공의'에 대해 심각한 질문을 던진적이 있다.

당시 가장 유행했던 말 중 하나가 '혀 짤린 예수'였다. 암울하고 죽을것

같은 사회 현상 속에 끝없이 침묵하시는 주님, 그렇게 목 놓아 부르고

또 불렀건만 그분은 여전히 답이 없으셔서 많은 지성인들은 예수를

향해 그런 치욕스러운 별명을 헌납했고 많은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난

기억이 있다. 물론 그 침묵의 의미를 깨닫는 건 그리 멀지 않았지만.


저자의 도마에 대해 기술한 요한의 목표는 잃었던 도전 의지를 다시금

일으킨다. '도마를 악한 의심을 품은 자 혹은 절대 따르지 말아야 할

본보기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모범으로 제시한다는

것이다.저자는 우리의 의심을 의심하는 것 이것이 예수님을 믿기 힘든

모든 사람을 위한 건강한 마음의 습관이라고 조언한다. 물에 빠진

베드로를 향한 주님의 질문은 이렇다. '믿음이 작은 자여 왜

의심하느냐?(마14:2)


이 책은 우리 청년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흔들리고 방황하고 갈피를

잡지 못하는 믿음의 여정에 확실한 길잡이가 되어 줄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