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인생공부 - 보고 듣고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의심하라
김태현 지음, 니콜로 마키아벨리 원작 / PASCAL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정독 후 진솔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의 군주론은 방대한 분량과 본문의

난해함으로 오만과 편견과 더불어 이름은 익히 들어 봤지만 끝까지

읽어 본 이가 드문 책 중 하나로 꼽힌다. 실제 나도 중도에 포기한

적이 몇번 있는 책이기에 핵심만 뽑아 정리한 이 책이 그나마

다행이었다.


백성이 없는 군주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군주는 반드시 백성이

있어야 히며 진정한 주인은 군주가 아닌 백성임을 천명하는 것이다.

마키아벨리는 군주의 최선의 보루를 '민중에게 미움을 사지 않는

것'이라 명시한다. 어떤 성을 쌓더라도 백성들에게 미움을 받으면

그 성은 존재하지 못하고 군주를 지켜주지 못한다. 권력의 철옹성만

쌓으면 괜찮을것이라는 착각을 하는 지금의 우리 정치 풍토에

정확히 반하는 기록이다. 500여년이 지난 지금 우린 다시 '군주론'에

대해 이야기 할 수 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을 맞이한다. 독선과

불통으로 대변되는 정치, 살아 남기 위해 허덕대야 하는 젊은이,

두쪽으로 나뉜 이념 논쟁의 끝은 보이지 않는 지금 마키아벨리의

'갈라치기 수단은 군주의 약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말은 너무

적절하다. '군주는 백성을 알아야하고 백성은 군주를 알아야 한다'는

마키아벨리의 말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다.


마키아벨리는 '변화에 맞추어 스스로 유연하게 행동할 줄 아는 사람을

발견하기는 어렵다'는 말로 인간의 변화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다. 그러나

능력있는 군주는 자기 스스로 변화 할 줄 아는 사람이다. 이는 운명이

변하더라도 자신이 먼저 적절히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변덕스러운

운명에 맞설 수 있으며 '자기변화'는 '조직의 변화'를 이끄는 초석이 되기

때문이다. 불가능할것 같은 '본판 불변의 법칙'을 거슬러 자신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 이것이 능력이고 이런 사람은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19번째 챕터에 나오는 '이상을 뒤받침할 힘을 확보하라'는 이상주의가

가득한 지금의 우리 사회에 던지는 경종이 된다. 힘이 없는 이상은

한낱 소음에 불과하다. 아무리 뛰어난 이상도 현실적인 힘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고허한 메아리에 불과하다. 우리는 많은 이상주의자들이

어떻게 스러지고 사라져 버렸는지 충분히 보아왔다. 무장하지 않은

예언자는 파괴되었지만 무장한 예언자는 항상 승리했다는 군주론의

문장은 오래도록 여운이 남는다.


저자는 군주론에 대해 학문적 접근이 아닌 보편적 접근으로 진입장벽을

낮췄고 익숙한 사건들과 전략들을 예로 들며 현실 생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