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 산다는 것에 대하여 - 도시의 삶은 정말 인간을 피폐하게 만드는가
마즈다 아들리 지음, 이지혜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말에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고 말은 제주도로 보내라는 말이 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은 서울로 서울로 몰려들고 그게 안되면 하다 못해

도시라는 곳으로라도 나가려고 안달이다. 이는 굳이 유엔 헤비타트가

내놓은 '2050년에 세계 인구의 70% 도시권에 거주하고 된다'

보고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이미 우리는 몸으로 느끼고 있다. 농촌화의

결과로 어떤 시골마을의 청년회(?) 평균 연령이 60세이며 제일 어린

사람이 50 초반이라는 사실은 그냥 웃어 넘기기엔 슬픈 현실이다. 


과연 도시는 무엇인가? 도시에 무엇이 있길래 사람들은 저마다 도시로의

탈출을 꿈꾸고 있는 것인가? 

사실 도시는 소음, 교통체증, 환경문제등 수많은 문제거리를 가지고 있는

괴물이다. 앞에 펼쳐지는 많은 사람들과 차량의 행렬과 출퇴근시 겪어야

하는 짐짝처럼 구조 넘어지는 현실과 도저히 따라갈 없이 벌어지는 소득

격차와 물가등을 생각한다면 도시는 오히려 기피 지역이 되어야 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도시로 사람이 몰린다. 


과연 이상적인 도시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모두가 만족하는 삶의 공간은

분명 없을 것이다. 그나마 다수가 만족하는 그러면서 소수의 만족을 위해

노력이라도 하는 그런 도시가 가장 이상적인 도시일것이라는 생각에 미치자

너무 막연해진다. 그렇다고 조목조목 이런저런 것들을 짚어 나가기엔 너무

광범위하다. 저자는 이에 대해 이상적인 도시는 각자가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의 생각과 의지가 삶의 길을 바꾸듯이 도시를 향한 자신의 선택과

의지가 나에게 가장 어울리는 도시를 만들고 그것을 누릴 있다는 말이다. 


'도시에는 저마다의 냄새가 있다' 

사람에게 각각의 냄새가 있듯이 도시에도 도시 나름의 냄새가 존재한다. 물론

냄새는 지극히 주관적이어서 개개인이 맡는 느낌은 다를 것이다. 노르웨이 냄새

연구가 시셀 톨라스(SIccel Tolass) '관용은 코에서 시작된다' 말했듯이 우리는

냄새에 민감하고 좋은 냄새와 싫은 냄새에 대한 호불호가 분명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시에도 나름의 냄새가 존재한다. 냄새는 도시의 물리적 성질에대해 굉장히

많은 것을 말해주며 강도는 경제적 지위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롭다. 먹는 , 바르는 , 뿌리는 것등 사용되어지는 종류에 따라 그곳의 냄새가

결정되고 보편화되어 진다는 것이다. 


정신과 의사이자 스트레스 전문가이며 도사애호가인 저자는 이러한 도시를 매력적이고

유익하고 편안한 삶의 공간으로 만들어 가는 방법들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는데

결론은 사람들은 그저 도시에 사는것을 넘어 도시를 이루는 중요한 일부가 되어야 하며

내가 원하는 이상적인 도시는 스스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적인 도시를

꿈만 꾸지말고 스스로 움직여 그런 도시를 만드는 이것이 진짜 이상적인 도시를

만드는 방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