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삶을 위로할 때 - 더 나은 인생을 위한 철학자의 말들
라메르트 캄파위스 지음, 강민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가 나거든 마음속 깊은 곳을 다시 들여다보아라. 그러면 분노가 너로 하여금 좋은 것을 욕망하도록 했기 때문에 네가 화가 났다는 사실을 알게 될 지니.˝


읽다보니 철학책보다는 자기계발서로 와닿은 이 작품은 철학을 아주 쉽게, 일상에서 접목하도록 풀어서 서술해놓았다. 3개의 큰 챕터와 각 챕터마다 6장의 작은 목차로 나뉘어있으며 각 목차에 주제를 선정해 관련 철학가들의 사상과 인용문을 써내려간다.

이렇게 친숙한 학문이었나, 철학이? 매번 두꺼운 벽돌책과 어려운 이름을 한 철학자들(?) 때문에 철학은 어려운 학문이라고 멀리했었는데 인용문도 쉽고 작품 속 예시도 이해하기 쉬웠다.

읽으면서 느끼기에 철학이란 삶을 살아가는 자기만의 신념같은 것 같다. 각 철학자들은 자기의 생각을 뚝심있게 내지르고 그와 반대되는 주장을 한 철학자들도 있다. 공통점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다.

작품 속 다양한 주제 중 내가 공감하고 내게 도움이 되었던 주제는 ‘분노‘ ’불만‘ ’친구‘ ’의심‘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었다.

분노는 사실 요즘 아기들 키우면서 나도모르게 욱하는 분노인데, 분노는 요즘 아이들 키우면서 나도모르게 폭발적으로 느끼는 충동적 감정인데 분노 속에는 무언가를 강력하게 욕망하기때문에 발생한다고, 궁극적으로 욕망을 충족시키면 분노는 사라진다고 한다. 내 분노는 무언가, 아기들이 잘 먹고, 안 어지르고, 아침에 후딱후딱 하는 것인데 이건 내 의지로 충족할 수 없으니 일단 pass. (????ㅋㅋㅋ)

불만, 그냥 받아들이란다. 이건 뭐 성격상 된다ㅋㅌㅋㅋ 운명으로 받아들이면 스트레스도 덜하고 편해져서 해결.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이건 위험했다, 엄청 공감했고. 기계가 보급되는 나이가 점점 빨라져서 걱정인데 시대가 변했다고 생각은 들지만 우리 아기들은 언제부터 사줘야하나 그것도 걱정…
하루에 2000번 넘게 본다고? 충격적이다.


이 서평만 보셔도 알겠지만 이게 철학책을 읽고 나온 결론이라곤 안 믿긴다.
웅답하라 2023은 각 책마다 큰 주제를 주는데 이번 주제는 ‘성장’이다. 어렵다고 생각했던 철학은 생각보다 어렵지만은 않았고 일상생활에 의외로(?) 도움이 된다. 철학책 몇 권 사놨었는데 올해는 한 권이라도 읽는 목표를 잡아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소년이 파랗지는 않다
조지 M. 존슨 지음, 송예슬 옮김 / 모로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인이지 퀴어로 억압이 억압을 받는 상황에서 어린시절 상처를 이겨내고 사회에 자기 목소리를 내는 용기를 얻어가는 과정 중 가족의 사랑과 믿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소년이 파랗지는 않다
조지 M. 존슨 지음, 송예슬 옮김 / 모로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나는 어린아이였을 때도, 10대였을 때도, 갓 성인이 됐 을 때도 이런 것들을 겪었다. 그러니 아무리 심각한 주제더라도 반드시 이야기되어야 한다. 각자 삶에서 그런 경험을 감당하게 될 10대들에게 읽혀야만 한다.“

특히 저자가 단단하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준 ’내니‘의 존재는 어마무시하게 중요했다. 일찍부터 저자의
섹슈얼리티를 눈치채고 항상 함께해주는 내니 덕분에 저자는 안정감있게 성장한 것 같다.
그래도, 아무리 가족이 저자를 사랑했더래도 커밍아웃을 하기란 참 힘든 일인가보다. 그 오랜 세월을 혼자 감당해온 저자의 고통을 이해할 순 없지만 작품을 통해서 닿으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나는 독서가 참 다양한 방면으로 좋은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작품이 없었다면 나는 평생 남자는 여자를 사랑해야‘만’하고 여자는 남자를 사랑해야‘만’한다는 생각에 고착되어 이 순리가 어긋나는 사람은 잘못된 사람이고 이상하다고 욕하고 멀리하려 했겠지…
아마 저자는 내가 생각하는 이런 상황 때문에 타인, 특히 가족과 친구에게 더 이야기 할 수 없었는지 모른다. 대학에 들어가며 다양한 커뮤니티를 통해 저자는 용기를 가질 수 있었도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작품은 내가 생각했던 것만큼 자극적이거나 드라마틱하진 않았다. 차별에 관한 이야기가 워낙 자극적이고 사건도 많아서 그런걸 기대하고 읽는다면 실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린시절부터 겪었던 고민과 외로움, 그걸 이겨내는 용기를 준 사람들에 관한 저자의
진실한 고백으로 같은 고민을 하는 10대들에게 도움을 주려했던것 같다 저자는.

친구, 가족, 사랑에 관한 다양한 의문을 가질 나이인 10대에 성정체성에 관한 질문까지 주어진다면 얼마나 세상에 동떨어진 느낌을 받을까. 같은 고민을 가진 청소년들이 같은 고민을 겪은 글쓴이들의 책을 읽으며 조금이라도 도움이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하는 이모들 창비만화도서관 7
근하 지음 / 창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정상’가족에 관한 다양한 시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그래픽노블로 청소년들이 부담없이 읽기 좋을듯. 디데일한 요소가 아쉽지만 전체적인 방향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하는 이모들 창비만화도서관 7
근하 지음 / 창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여쪽의 그래픽 노블, 제목은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퀴어 작품인 이 작품은 ‘비정상’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청소년 문학인점을 감안하면 아주 좋은 접근인 것 같다.

중학생 효신이 사고로 엄마를 잃고 몸이 아픈 아빠와 떨어져 10년만에 만나는 이모와 살아가게 되는 내용이다.
엄마을 잃은 슬픔과 낯선 곳에 낯선 사람과 사는 효신은 특히 예민해질 수 있는데 그런 부분이 이모와 같이 사는 ‘주영이모-동거인’도 불편했나 보다.

그런데 아쉬웠던 점은 어른인 ‘주영이모’가 이런점을 이해하고 배려했어야 하지 않나 싶다. 특히 효신은 엄마가 돌아가셨다고 ㅠㅠ 다양한 사건과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서로가 성장하는 스토리로 이야기는 마무리되었다. ‘비정상’가족을 소개하려는 목적이라면 이 작품은 의미있었지만 각 등장인물의 감정흐름은 아쉬웠다.

다양한 성정체성을 읽는 것, 비정상가족을 접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좋은 것 같다. 다양한 사례를 읽으면서 나는 어떤 생각을 하는지 고민하고 그들에 대한 내 결론을 정리할 수 있으니까.
특히 나는 ’세상엔 다양한 사람이 있다.‘라고 생각하게 된 것 같다. ’수용‘ 된다고 할까? 부정적이진 않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