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삐는 어른이 되기 싫어 - 린드그렌 탄생 110주년 기념 개정판 시공주니어 문고 2단계 17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잉리드 방 니만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시공주니어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 문학 고전.6세 8세 아이들은 침대에서 삐삐 얘기를 듣기 위해 방 정리를 한다.여자나 아이만 있다고 하면 만만하게 보고 우습게 여기는 어른들.그들에게 똥침을 놓는 삐삐의 당돌함에 엄마도 같이 얘기에 빠져버린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26 11: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26 13: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27 0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흥하는 말씨 망하는 말투 흥하는 말씨 망하는 말투
이상헌 지음 / 현문미디어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말을 해야 좋은 일이 온다는 걸 알려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길 위에서 읽는 시
김남희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좋아하는 프로는 <혼자 산다>와 <고독한 미식가>다. 반면 제일 싫어하는 프로는 <슈퍼맨이 산다> 이다. 그렇다. 나는 세 아이를 키우는 전업 주부다. 지긋지긋한 육아를 굳이 티브이에서까지 보기 싫다. 혼자 사는 일 그리고 길거리를 배회하다 마음에 드는 식당에 훅 들어가 맛있게 음식을 먹는 고독한 일은 당분간 내게 없을 일이다.


젖먹이 아이는 항상 나와 붙어 있는다. 두 아이는 방학. 아이고. 아기 이유식은 고사하고 두 아이 세끼 식사에 정신없이 어질러 놓은 걸 치우는 일만으로도 하루가 버겁다. 슬픈 사실은 버거운 하루 중 나를 위한 일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나 없으면 살 수 없는 아이를 키우는 일은 거룩하다. 그 뿐이다. 내가 낳았으니 내가 책임지는 삶. 인정 욕구가 있는 사람으로서 천사나 성인이 아닌 보통 인간으로서 삶에 대한 회의가 밀려왔다. 그럴 때 집어 든 책이 바로 <길 위에서 읽는 시> 였다.

이 책을 쓴 계기는 그렇다. 저자는 사랑하고 있었다. 여행을 하며 사랑하는 사람과 항상 같이 할 수 없었기에 시와 함께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써서 마음을 나누려 했다. 그 사랑은 어느새 신기루처럼 없어져 버리고 결국 남은 것은 사랑하는 사람과 같이 읽으려 남겨 놓았던 시와 자신이 쓴 글 뿐. 그 글은 없어지지 않고 나처럼 글을 마음대로 오독할 독자에게 전해졌다.



저자는 길 위에서 혼자다. 고독을 씹으며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썼을 그 시가 내게 묘한 위로를 주었다. 나는 외로움이 필요했다. 공허가 필요했다. 누구보다 많은 사랑을 받고 내 사랑을 갈구하는 존재가 있음에도 그랬다. 저자 외로움은 내게 숨 쉴 구멍 같았다. 그 어떤 것도 너무 많으면 넘친다. 저자가 길 위에 있는 공허를 책과 시로 채우고 글로 뱉어내는 모습이 내겐 호흡과 같았다.



사람은 항상 선택을 해야 한다. 나는 가정을 택했다. 덕분에 나는 믿음직한 남편을 얻었고 나와 남편을 반반씩 닮은 아이들을 얻었다. 저자 선택은 자유에 가 있었다. 덕분에 작가는 다른 사람들보다 많은 곳을 다녔고 다양한 경험을 했다. 그 삶은 책이 되어 많은 사람이 읽고 공감하며 작가로 인정받았다. 우리 둘은 닮았다. 결정을 했고 포기를 했고 그리고 책을 읽는다.

나는 책을 통해 경험을 대신한다. 아이를 안고 밥을 차리고 설거지를 하며 그녀가 길에서 읽은 시를 같이 읊는다. 비록 우린 반대 편에 있지만 같은 시를 읽고 같이 느낀다. 저자가 생각한 그 슬픔과 서글픔에 공감하고 그녀가 얻은 환희에 함께 기뻐한다.



“이번 생을 뜨겁게 살고 있다는 증거이기에, 사랑을 하는 한 인생의 봄날을 살고 있는 거라고 여전히 믿고 있다.(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직 두 사람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오직 두사람>을 읽으며 진화하는 작가를 보는 기쁨을 느꼈다.왜 이 단편이 작가의 페미니즘선언이라고 느껴지지?교수직에 아는 이론으로 아무말했던 과거는 죽고 한 명의 인간으로 오롯이 세상을 바라보는 다음 작품을 기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직 두 사람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작가가 변하는 모습을 작품으로 보는 건 독자로서 기쁨이다.소설로 보여주는 사고의 전환과 선언적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