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직도' 내가 제일 어렵다 - 마음의 민낯을 보여주고 싶지 않은 여자들을 위한 심리학
우르술라 누버 지음, 손희주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내 안에 가진 ‘비밀’에 대한 책이다. 앞선 책은 내 스스로에게 솔직하지 못해 생긴 병, ‘우울증’에 대한 책이었다. 나는 내 마음을 알지만 타인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비밀’에 대해 썼다. 요즘 세상은 ‘진실’을 추궁하고 산다. 자서전을 쓰고 솔직한 마음을 이야기하라고 강요한다. 이에 저자는 ‘그러지 않아도 된다’며 독자를 다독인다. 내가 내 마음에 솔직하면 그것만으로 충분하다. 비밀이 있다는 건 내가 그만큼 소중하다는 뜻이라며 용기를 준다.


그렇다면 앞선 성공한 사람들이 내비친 ‘솔직함’은 무엇일까? 이 진실은 오랫동안 자신 안에 있던 비밀이 성숙해서 나온 보물이다. 이들이 자신이 가진 상처나 창피할 수 있는 흑역사를 부끄럽지 않게 한 힘은 바로 ‘비밀’이 아니었을까? 타인에게 어떻게 내 못생긴 마음을 설득시킬지 비밀이란 공간 안에서 고민했던 시간 흔적이 바로 ‘성공’을 만든 원동력이다. 비밀은 언젠가 밝혀진다. 다만 비밀을 품고 있는 사람에게 시간을 주자.


이 책은 한 발 더 나아가 자신이 가진 타인에 대한 본심을 숨기고 얘기하는 ‘백색 거짓말’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거짓말 또한 타인을 배려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음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통해 뒷받침한다. 자신을 위한 비밀과 타인에 대한 본심을 숨기기 위한 거짓말. 엄연히 윤리적으로 옳지 않다. 저자는 내 마음을 지키고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면 더 이상 윤리적 문제에 얽매이지 말기를 충고한다.


나는 이제껏 솔직하고 거짓 없는 삶이 옳은 삶이라고 생각했다.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는 게 제대로 된 세상이라고 확신했다. 그렇기에 나는 진실하고 솔직한 글만 쓰고 싶었다. 은근히 가짜로 만든 세상을 무시했다. 동화를 쓰고 소설을 쓰면서 죄책감을 갖고 있었다. 사실이 아닌 걸 진짜처럼 쓰는 내가 사기꾼처럼 느껴졌다. 사실 그런 생각과 함께 우울감도 함께 몰려왔다. 살고 있는 현재가 더 우울하고 절망이란 사실이 어깨를 짓눌렀기 때문이다.


책을 덮고 마음이 가벼워졌다. 더 이상 소설이 거짓으로 보이지 않는다. 비밀을 품고 있는 보물 상자가 아닐까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