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노니는 집 - 제9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보름달문고 30
이영서 지음, 김동성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나리문학당 역사책 읽기

이 책은 영조 시대 천주학 유입과 함께 많은 기생과 양반들이 핍박을 받은 일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동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천주학에 영향을 받은 양반들 의식이 변화하는 모습,
그 당시 책을 만들기까지 종이 만들기와 필사 작업,
당시 유행했던 책 종류와 내용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줄거리

장이 아버지는 필사쟁이다.
어느 날 아버지는 천주학 책을 필사했다는 죄로 매를 맞고 몸져 누워 3년 후 세상을 떠난다.
고아가 된 장이는 필사를 의뢰했던 최 서쾌 책방에서 책을 배달하는 일을 한다.
홍교리 집에 책을 배달하러 가는 길에 허궁제비에게 상아찌를 빼앗긴다.
5전을 구해오라는 허궁제비 말에 장이는 걱정이 가득하다.
지체 높은 양반인 홍교리는 말도 안 되는 장이의 변명을 믿어주고 같이 책을 벗하며 말동무를 해 준다.
장이와 기생집 하녀 낙심이는 상아찌를 갚기 위해 돈을 빌리는 일을 계기로 친해진다.
장이는 상아찌를 주위 어른들 도움으로 찾게 된다.
그리고 홍교리가 천주교인이라는 것을 들키지 않는 데 도움을 준다.
후에 장이는 아버지의 꿈인 책방을 만드는 꿈을 최서쾌와 홍교리 도움으로 한걸음 내딛게 된다.                               

 

전기수의 얘기를 듣고 있는 사람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사람에 대한 평등책이 주는 즐거움이다.

첫째, 계급 사회 안에서 조금씩 피어나는 평등한 생각에 대한 시작이다.
장이와 홍교리는 나이에 있어서 나 반상이 다르다. 그러나 그들을 벗이 된다.

부모도 없는 고아 주제에 공자 맹자 읽어서 정승 파서라도 할 모양이지.(51)

장이는 필사쟁이인 아빠 곁에서 많은 책을 접했다. 그러면서 책 읽는 즐거움을 알게 된다. 그렇지만 주위 시선은 이토록 매서울 뿐이다. 그런 장이에게 홍교리는 자상하게 읽은 책들을 물어보기도 하고 직접 글을 써보게도 한다.

아랫것들이 하는 말은 무조건 의심부터 하고, 혹시 물건이라도 없어지면 도둑으로 몰아 매질부터 하는 대부분의 양반들과 홍 교리는 다른 사람이었다.(124)

장이 거짓말을 믿어주고 또 그를 인정해 준다.

천주학 책을 옮겨 적으며 아비는 손이 떨리고 마음에 비바람이 일었다. 우리 같은 것들은 날 때부터 천한 죽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고 하더구나. 조선에서는 천지개벽할 소리지만 서양에서는 모두 그렇게 믿는다더라. 천주님 앞에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90)

천주학은 이렇게 홍교리를 변화시켰다. 그렇기에 장이는 홍교리를 통해 자신만의 꿈을 키운다.

둘째, 이 책은 책 읽기가 주는 유익들을 깨닫게 한다.
장이는 필사하는 아버지 옆에서 어떤 이야기를 쓰는지 자주 물어본다.

우리에겐 밥이 될 이야기, 누군가에겐 동무가 될 이야기, 그리고 또 나중에 우리 부자에게 손바닥만 한 책방을 열어 줄 이야기를 썼지.(75-76)

책을 읽는 즐거움에 빠진 사람을 아는 말도 나온다.

어서 다녀오너라.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이야기가 끊기면 밥이라도 끊긴 양 허기져.(98)

책이 주는 유용함에 대해서 홍 교리 입을 통해 알려준다.

책이 없어서 못 읽지, 가려 읽지는 않는다. 좋으면 좋은 대로 나쁘면 나쁜 대로 모두 공부가 되는 것이 책이지. 당장 필요치 않은 지식 같아도 뜻밖에 유용하게 쓰일 때도 많고.(153)

셋째,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따뜻한 마음도 이야기를 통해 알려준다.
장이는 고아로서 아무도 자신 편이 없음에 슬퍼했다. 허궁제비가 뺏은 허궁제비 사건을 통해 따뜻한 어른들 사랑을 깨닫는다.

자신이 잘못하지 않은 걸 알아주는 사람, 그래서 자신을 두둔해 주는 사람 앞에서 장이는 치밀어 오르는 울음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112)

벗인 낙심이에게 책을 읽어주다 무심코 '심청전'을 들려준다. 이에 도망가는 낙심. 최 서쾌가 아비에게 버림받은 낙심이에게 아버지 사랑을 얘기하는 책을 읽어준 장이를 나무란다.

사람을 사귀는 것도 그렇고, 장사도 마찬가지다.
마음을 먼저 헤아려야 해.(139)

이 부분을 통해 사람에 대한 배려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역사 동화를 읽으며

언젠가 교수님 대답에 답하다가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아니, 머릿속에 아는 단어 나열하지 말고 제대로 얘기해."
사실 어려운 얘기를 하는 것은 쉽다.(참 모순적 말이지만 그렇다.)
오히려 그 어려운 말을 쉬운 말로 바꾼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에 어른 소설보다 좀 더 어려운 일이 동화 쓰기라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어른인 나도 이해하기 어려운 역사를 동화로 쓴다니 이건 글쓰기 중에도 최고 난이도다.
많은 것을 넣으려고 욕심을 부리면 안 된다.
어린이의 입장에서 어린이가 이해할 수 있는 부분만.
하지만 그 안에 역사를 넣어 그 당시 시대상을 깨달을 수 있도록.
이 책은 그 많은 요건을 충족한 책이다.

전문 이야기꾼과 전문 필사쟁이는 성장하는 서민계급이 만들어 낸 문화의 꽃이자 그들이 요구하는 새로운 지식 정보가 오가는 교차점이어서 그 시대를 내부로부터 조망할 수 있는 유력한 지점인 것이다.(190) 심사평

역사뿐 아니라 책을 읽는 즐거움을 깨닫게 한다.
사람에 대한 평등 정신과 사람을 사랑하는 따뜻한 마음을 알 수 있는 많은 내용을 무리 없이 섞은 뛰어난 수작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책을 읽는 이유를 글자로 확인하며 행복했다.
어린 시절 느꼈던 외로움을 위로해 주는 듯한 글귀가 인상 깊었다.
더 나아가 필사쟁이인 장이 아버지 모습을 보면서
나도 필사로 더 깊이 책 읽기 재미를 느끼고 싶다는 욕심까지 갖게 했다.
아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