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거 게임 헝거 게임 시리즈 1
수잔 콜린스 지음, 이원열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마음이 좋지 않았을 때 이 책과 영화에 푹 빠져들면서 힐링을 했다.
마음이 평온해지고 그런 내용이 아니지만 그래도 이 책을 읽으면서 현실과 대입해 보게 되고 또
작가가 말하고자 한 것을 무엇일까 되씹어보면서 은근슬쩍 나도 바라보게 되면서 어떤 인생을 살아야 할지도 생각해본
꽤나 철학적이지만;민 어렵지 않고 재미 있었던 책이었다.
영화는 책에 따라가지 못했지만 그 많은 얘기를 담는 것은 무리기 때문에 나의 이해도와 감독의 이해도를 비교하면서 보는 재미가 쏠쏠했다.


한 나라가 잘 살기 위해서 나머지 13구역 사람들의 자원과 인력을 착취한다.
이건 비인간적인 행위지만 강자의 논리로 이것을 당연한 것으로 알고 살게 하고자
겁을 주고 배를 굶기고 또 그에 따른 눈꼽만한 혜택을 주면서 강한 도시는 그렇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 강대국의 논리대로 법을 시행하고 살면 도저히 살아질 수 없는 상태이기에
먹고 살기 위해 소녀 캣니스는 불법 사냥을 자행한다.
같이 사냥하는 게일과는 그렇고 그런 기미가 있지만 아직 십대이기 때문에 그냥 미적미적이다.
그런 와중에 강대국이 겁을 줄 겸 그리고 사람들의 시선을 뺏을 겸 해서 만든 서바이벌 프로그램 추첨에
착하고 착한 어린 아이 주인공 캣니스의 동생 프림이 당첨되고 충동적으로 캣니스는 동생 대신 자신이 대신해
죽음의 서바이벌에 들어간다. 그 때 같이 들어간 남자 조공인 피타는 전부터 캣니스를 좋아했었다.
그건 유전적인 끌림인듯 피타의 아빠가 캣니스 엄마를 좋아했지만 소심해서 말을 못하다가 결국
힘센 광부에게 뺏기고..피타도 그냥 계속 캣니스 주위만 맴맴맴맴 돌다가 그냥 끝났을텐데 우연히 이런 기회로 사랑 고백도 하고
(죽기 전에 무얼 못하리..) 또 그로 인해 캣니스도 점점 변화한다.
먹고 살기에 독기 어린, 자기 가족만 살리려고 애썼던 이기적인 마음에서 남을 생각하고 우리를 생각하는 이타적인 사람으로 변모한다.

이 서바이벌에서 우연한 우연한 사건으로 캣니스는 반동의 심벌이 되고
뭣도 모르는 캣니스와 피타는 여기저기 떠돌면서 시련을 겪게 된다.
이 와중에 게일은 분노에 눈이 멀어 가족을 사랑하고 위했던 목적을 잊어버리고
단지 상대방을 파괴시키려는 목적과 과정이 뭔가 와해되는..그런 상태가 되어버린다.

캣니스를 좋아한 이유도 피타는 노래소리가 매력적이어서 잊을 수가 없었다고 얘기한 반면
게일은 남이 캣니스를 희롱하는 걸 보고 열 받아하는 자신을 보고(탐욕) 좋아하는 자신을 발견했다고 얘기한다.
결국 강대국의 논리나 그에 반한 반대분자 또한 탐욕으로 채워져 자신의 이기적 욕심을 채우려는 것은 똑같은 것이었다.
어떤 팀이 착하고 어떤 팀이 못되고 선악이 분리된게 아니라
결국 그들은 똑같은 욕심과 이기심으로 점철된 사람이라는 결론.
그 안에서 무력하게 꼭두각시 되어가는 캣니스와 피타.
그리고 그 탐욕의 세계에 찌들어 버린 게일.
내가 보기엔 이렇네-

결국 사람을 우선시했던 피타를 보고 피타가 없으면 죽을 듯 힘든 사랑을 하게 된 캣니스는
피타랑 잘 먹고 잘 놀고 애도 낳고 잘 산다.

그 와중에 많은 사건들이 있지만 내가 느끼기에..또 작가가 얘기하고 싶은 포커스가 이게 아닌가 한다.
서바이벌 게임은 상황을 만들어 너도 나와 같은 탐욕덩어리 이기심 깃든 못된 놈이라는 증거를 얘기하려 애쓴다.
그 상황에서 내가 살기 위해 남을 죽이는 건 어쩔 수 없는거 아닌가.

근데 여기서 피타는 캣니스를 좋아한단 이유로 같은 무리에서 칼을 맞으면서 까지 캣니스를 살렸고
의리있는 캣니스는 처음 다른 시청자의 입장에서 피타를 위했지만
결국 서로를 생각하는 그 이타적인 마음이 배고프고 굶주려서 매우 비굴해진 12구역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했다.

또 두 번째 서바이벌 게임에서도 남을 밟고 올라서려는 마음보다 서로를 연합하여 끝까지 다 살 수 있다는 마음이(13구역 반란군들이 의도했다.)다수의 생존자를 만들 수 있었고..

그리고 세 번째 실전 전쟁에서 남을 이기려는 그 탐욕이 결국 캣니스가 처음부터 지키려고 했던 존재를 잃게 만들었다.





결국 이 책의 주제는 ˝서로를 사랑하자˝인 것이다.

요즘 경쟁 사회에서 살아나기 위해 남을 밟고 올라가야 한다는 생각이 만연하다.
어쩌면 국가가 제공하는 고시나 인원을 제한하고 뽑는 그 무엇이 바로 이런 서바이벌 게임같은게 아닌가 생각한다.
너가 떨어져야 내가 붙고 먹고 산다...이 생각이 만연하는 한 우리는 패배자일 수 밖에 없고 아무 것도 남을 수 없다.
내가 희생해서라도 남을 귀하게 여기는 것.
거기에서 우린 희망이 있고 발전이 있는게 아닐까..

이 책의 결론은 바로 그런 것인 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