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처음으로 읽어보게 된 책이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대한민국 트렌드에 대해 분석하고 소비트렌드를 전망합니다.
이 책 《트렌드 코리아 2024》에는 많은 전문가들이 트렌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2023년의 트렌드와 앞으로 2024년의 트렌드에 대해 전망하는데 우선 2023년에는 양극화된 소비 현상을 보입니다.
명품을 찾는 소비자들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매출을 회복했다고 합니다. 반면 중산층을 위한 매장의 매출이 아직 회복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등급에 따라 서비스 차별화가 명확한 산업 분야일수록 프리미엄화 전략이 유효합니다. 카드 업계에서도 프리미엄이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
시장의 새로운 수요 창출의 주역으로 떠오른 알파세대가 있습니다. 고물가로 소비가 위축됐던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유아동 시장은 선전했습니다.
2024년을 전망해 보면 DRAGON EYES라고 합니다. 각각의 키워드의 알파벳 대문자를 따서 만든 글자입니다.
분초사회, 호모 프롬프트, 육각형인간, 버라이어티 가격 전략, 도파밍, 요즘남편 없던아빠, 스핀오프 프로젝트, 디토소비, 리퀴드폴리탄, 돌봄경제 등입니다.
분초사회란 시간 효율성을 극도로 높이려는 사회의 경향성을 구성원 모두가 분초를 다투며 살게 됐다는 의미에서 분초사회라는 이름을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빨리빨리문화와 연결될 수 있는 키워드로 바쁜 한국인들은 이제 1시간 드라마도 요약되거나 중요 장면만 보고 소비합니다.
육각형인간이란 키워드는 어떤 대상의 여러 가지 특성을 비교분석할 때 그 기준을 축으로 하는 육각형 이미지를 그리는데 헥사곤 그래프라고 합니다.
모든 기준 축이 끝까지 꽉 차 완벽한 모습을 보이면 정육각형이 되기 때문입니다. 완벽하다는 의미로 쓰이게 됩니다.
요즘남편 없던아빠는 변화하는 시대를 알려주는 키워드입니다. 결혼화 가정에 대한 생각이 변하고 있고 남성들이 생각이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한 가정의 가정이라는 무거운 표현 대신 내조왕, 살림남, 딸바보, 아들바보와 같은 감성 어린 표현으로 대체되는 중입니다.
디토소비는 새로운 소비 방식을 말합니다. 상품, 정보 제공, 구매 채널이 모두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수많은 선택지에 직면하게 된 소비자들의 선택입니다.
정보 탐색이나 대안 평가 등 제대로 된 구매 의사결정 과정을 모두 생략한 채 그냥 나도하고 특정 소비자를 추종해 구매하는 것입니다.
2024년에는 이런 키워드들이 더욱 우리 사회의 트렌드를 잘 표현해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