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만 하는 부모, 상처받는 아이 - 부모의 좋은 습관이 아이의 인성을 채운다
김은미.서숙원 지음 / 별글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 무엇인가요? 전 부모노릇이 가장 힘든 것 같습니다.
잘해도 본전인 부모노릇~ 아이들이 조금씩 커가니 점점 더 어려움이 따른답니다.
잘 키우고 싶은 욕심이 생겨서 일지도 모르겠어요. 공부를 잘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은게 아니라
바른 아이, 상처 덜 받는 아이, 이 사회에서 당당히 제 몫을 하며 살아가는 아이로 키우고 싶은데...
그게 참 어렵다 싶은 요즘입니다. 특히나 저희 큰 아이를 보면서 더욱더 그런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답니다.
제가 어릴 때 못했던 많은 경험들을 주고 싶어서 시간을 내어 다양한 체험들의 기회도 주고, 여행도 많이 다니고, 친구 같은 엄마가 되고 싶어 나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가끔은 제가 맞게 가고 있는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두 아이들을 키우면서 휩쓸리지 말자. 남들하고는 다른 나만의 교육방법으로 가자라며 잘 지키고 있지만
가끔씩 큰 아이와 관련된 사람들을 만나면 가장 많이 듣는 말들이
"엄마가 아이 앞길을 막고 있는건 아닌가요?"라는 말을 들을 때랍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아닌데...
그 사람들 눈에는 그들의 눈으로 바라보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물론 가끔씩은 내가 가는 길이 맞는지 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지만요.

아이들 키우면서 말만 하지 말자 나도 행동으로 보여주자라며 많은 노력을 하는데...
그럼에도 아이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 때도 있답니다. 수많은 육아서를 접하면서
나는 정말 나쁜 엄마인가? 잘못된 방법을 하고 있나 싶어서 속상했던 적도 있지요.
하지만 아이들을 키우다 보니 육아서는 그냥 육아서일 뿐 나에게 정확한 답을 주지는 못했어요.
아이들의 성향이 다르니 교육 방법 또한 다를 수 밖에 없는데 말이죠.

오랜만에 답답하지 않는 육아서를 만났네요. ^^ 말만 하는 부모, 상처받는 아이...
사실 저는 반대다 싶은데. ^^ 아이들 때문에 상처를 받을 때가 종종 있는 엄마거든요.

 

처음부터 두 아이들을 나의 꼭두각시로 키우려고 한적은 없답니다. 조금씩 제 스스로 하는 아이들로 키우고 싶었어요.
이 사회에서 남들이 다 맞다고 하여도 자기가 아니라고 생각할 때는 아니라고 말할 줄도 아는 아이로
남들 다 하는 유행을 따라가는 아이가 아니라 나 나름으로 살아가는 아이,
작은 것에 상처받고 슬퍼하기 보다는 당당하게 헤쳐나가는 강심장을 가진 아이로 키우고 싶었습니다.

제가 우리 부모님들에게 바란 부모님의 모습으로 말이죠. 하지만 먼저 고백하건데... 100% 성공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어떤 것은 옳았고, 어떤 것은 실패했으니까요. 하지만 그래도 어느정도는 남들과는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한답니다.

학원 안 보내는 강심장을 가진 엄마, 공부 보다는 밥 세끼 잘 먹는 아이,
공부 보다는 가족이 뭐든 함께 하는 아이로 키우고 있으니 말이죠. ^^


아이가 어느정도 크면서부터는 무조건 안돼라고 외치기 보다는 왜 안돼는 지를 알려두고 선택하게 하고 있답니다.
그러면 아이들도 어느정도는 이해를 하고 자신들이 선택을 하더라고요.
때론 그 선택이 틀리기도 하지만 말이에요.

이번 말만하는 부모, 상처받는 아이를 통하여 보다 제가 맞는
또는 제가 해볼 수 있는 방법들을 배운듯 싶습니다. 특히나 독일 아이들의 교육방법엔 충격을 받았네요.
사실 전에 다큐멘터리를 보면서도 어느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말이에요.

엄한 교육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라는 것도 말이죠.
적당히 풀어주고 적당히 조이는 것이 좋은 교육방법 같습니다. 무조건 엄하기만 한 것도 사실
제가 아이라도 싫을 테니까요.


세 아이를 키우는 엄마가 아이들을 키우면서 느끼는 것들을 꺼내 놓아 더욱더
와 닿았는지도 모르겠어요. 아이는 무조건 때리지 말고 말로해라가 아니라
어느땐 엄해야 한다는 말에도 공감가고 아이에게 화내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화를 내었다는 작가분의 이야기를
보면서 같이 공감하고 이 분도 사람이구나 싶어서 오히려 정감이 느껴지더라고요.


남들 다 하니까 너도 해, 남들이 뭐라고 하겠니가 아니라 남들이 뭐하 하든... 그런 아이로 앞으로도 키우려고 합니다.
남들 다 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이 아닌 너만의 독창적인 니가 좋아하는 일을 하라고 말이죠.
큰 아이는 공부를 매우 잘합니다. 하지만 작은 아이는 평범하지요. 그래도 한번도 작은 아이 공부 못한다고 혼낸적은 없습니다.
넌 대신 착한 품성을 지녔고 밝은 에너지가 있는걸... 이라며 말해주지요.

아이마다 다른 성향이 있고 둘다 다 내 사랑하는 아이들인데... 그저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습니다.
교육을 담당하는 주체인 부모가 아이들의 인성을 공부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가 되길 바래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