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ook Thief (Paperback) - 『책도둑』 원서
마커스 주삭 지음 / Alfred A. Knopf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게 어려운 편도 아니었고, 이야기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재미없게 느껴지지 않았는데도 읽는데 오래 걸렸다. 계산해보니 정확히 한 달 읽었네. 영어책이라 아무래도 시간이 필요했나 보다.




나는 책을 살 때 딱히 책의 정보에 대해 미리 알고 사는 편은 아니다. 그냥 추천을 받거나 요새 인기 있는 책을 보관함에 넣어두었다가, 마음에 드는 놈들을 장바구니로 옮겨 한 번에 왕창 지르곤 한다. 그러니까 이 책도 나치 시절 독일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이며 화자가 저승사자라는 걸 전혀 몰랐다. 그래서 초반에는 내가 뭘 잘 못 읽었나 싶어 자꾸 앞으로 돌아가 읽은 것을 확인 또 확인했지만, 곧 익숙해져 이야기에 빠져들 수 있었다. 사실은 아주아주 오랜만에 책에 폭 빠져 손에서 놓기가 싫었던, 정말 정말 재미있게 본 책.





1930년대, 리젤은 독일의 양부모에게로 입양된다. 기차를 타고 독일 뮌헨으로 오는 동안 남동생이 죽고, 어딘지 정확히 기억하지 못 하는 곳에 묻어주게 된다. 그리고 리젤은 처음으로 책을 훔친다.




생모와 헤어지고 남동생의 죽음을 목격한 9살의 리젤은 새로운 부모와 살면서 또 다른 삶에 적응을 해야 한다. 그녀를 따뜻하게 받아준 양아버지 한스와 함께 훔친 책을 읽고 글자를 배우고, 옆집 사는 레몬색 머리칼을 가진 루디와 친구가 되며 낯선 동네에서 그럭저럭 살아간다.




그러다가 아버지가 오래전에 은혜를 입었던 지인의 아들이자 유대인인 맥스가 함께 지내게 된다. 유대인들을 함부로 죽여도 이상할 것이 없던 때라 지하실에 숨겨주었다는 것만으로도 무슨 일을 당할지 모르는 험한 시대였다. 그러나 이들은 맥스를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비정상적인 시대에 정상적인 인간애를 나누며 서로 의지하고 살아간다.




패망 직전, 세상의 포악함은 극에 달하고 그에 따라 이 착한 사람들의 인생도 자꾸만 휩쓸려 가게 된다. 절정을 향해 속도를 낼 듯 말 듯하던 이야기는 갑자기 급제동을 걸고 멈춰서 이 이야기가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라는 것을 정확히 보여준다.




정신 나간 시대의 가족애, 사랑, 우정, 생명의 소중함, 용서, 공감, 죄책감... 이야기가 전하는 것은 너무나 많다. 지금 우리의 눈으로는 '말로 설명이 안 되는' 이상한 시대였지만 사람들은 그 속에서도 나름대로 서로 사랑하고 보듬고 싸우고 미워하며 살았나 보다.




당시 평범한 사람들의 삶이 어땠는지를 볼 수 있는 것이 좋았다. 길이가 다소 길다 보니 등장인물들에게 애정이 생겨 너무 많은 일을 겪은 리젤에게 연민이 가고, 심지어 화자인 (그리고 인간이 아닌) 죽음의 신 (혹은 저승사자)의 입장에까지 자꾸 대입이 되는 것도 이색적인 경험이었다.




명실공히 선진국인 독일에 이런 과거가 있었다니. 사실 이런 일은 까딱 잘 못 하면 어디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것을. 그 참혹함을 앳된 소녀 리젤의 인생을 통해 들여다보는, 우리가 알아야 할 우리의 이야기. 소설을 읽는 것에도 목적이 있다면 바로 이런 것일 것이다. 몰랐던 일을 사람들에게 생생히 전해 기억하게 하는 것. 당분간은 나치 관련 이야기는 읽지 않기로 다짐했지만. 오랜만에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깊이 있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역사는 깊다 1 역사학자 전우용의 한국 근대 읽기 3부작 1
전우용 지음 / 푸른역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우용 역사학자라고 하면 파란색 새 그림이 있는 트위터 계정으로 친숙한 분이다. 구매한 책은 아니고, 출간 당시 알라딘에 댓글로 뭔가를 응모를 했는데 당첨이 된 모양이다. 댓글 응모 며칠 후 집이 책이 배달되어 강제로 갖게 된 책. 




책의 첫머리에서 밝혔듯, 이 책만을 위해 따로 집필한 것은 아니고 어느 신문에 연재했던 것을 모아서 출간한 것이다. 100여 년 전 오늘 있었던 일을 소재로 당시 그 일이 있었던 배경, 역사적 의미 등을 설명한 후 오늘날 우리에게 갖는 의미,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 그리고 역사학자의 시선 또는 소외 등을 담았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이면 대한제국 부근부터 일제 강점기 초 무렵이니 나라의 존망이 위태위태한 때라 대체 무엇이 잘 못 되었던 건지 곱씹어 보기 더 좋은 '선조들의 경험'이 아닐까 싶어 더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워낙 글을 잘 쓰는 분이라 술술 넘어간다. 이런 종류의 책을 보면 학교에서 교과서로만 접했던 역사적 사실을 문장 한 줄이 아니라 3d 입체영상처럼 생생히 볼 수 있는 것이 참 재미있다. 몰랐던 이야기, 혹은 당연하게 또는 막연하게 인식하고 있던 것들을 역사의 한 장면을 통해 나의 생각, 나아가 '오늘의 우리'를 뒤집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즐거웠다.




나름 역사를 좋아하는 편이고 그만큼 내 나라의 역사에 대해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했건만, 책을 보는 내내, 역시 배운 대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많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아예 처음 접하는 이야기는 그대로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이에 과거를 본 역사학자의 현재에 대한 질책은, 너무나 맞는 이야기라 듣기 싫기도 하지만, 가장 아픈 역사이니만큼 더 철저히 배워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당첨된 책은 1권 만이라 이것만 읽었지만, 2권도 궁금해 사 볼 생각이다. 이틀 전 책을 왕창 질러 또 언제 살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역사 분야를 좋아하지만 아직 어려운 책을 볼 단계는 아니다 싶은 분께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mes and the Giant Peach (Paperback)
Dahl, Roald / Puffin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4번째로 읽은 로알드 달의 작품. 책도 아닌 팀 버튼 감독의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을 본 이후 로알드 달이라는 작가에게 관심이 생겨 5권이나쟁여놓고 보고 있는데, 3권을 읽는 동안 이 작가가 뭐가 대체 그렇게까지 특별한 건가 싶은 의구심이 들었다. 이 책은 어른들이 기대하는 동화 이야기 같다는 느낌이 든다. 깜찍하고, 순수하고, 환상적인.




부모님이 일찍 돌아가신 제임스는 숙모들과 같이 살게 되지만, (이모? 숙모? 고모? 잘 모르겠다) 로알드 달의 다른 작품에서도 그랬듯 새로운 가족은 아이를 영 싫어하는 사람들이라 제임스는 별 이유도 없이 미움을 받게 된다. 소원이라고는 다른 아이들과 함께 어울려 노는 것밖에 없지만 늘 집에서 심부름을 해야 하기에, 그리고 딱히 심부름 때문이 아니더라도 못된 숙모 (혹은 이모 혹은 고모)들은 절대로 다른 아이들과 노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 날 신비한 할아버지를 만나게 되고, 더 신비한 주머니를 하나 얻게 된다. 주머니 속에는 '쌀알 만 한 초록색 구슬'이 잔뜩 담겨 있었는데, 할아버지는 이렇게 설명해준다.





"집에 가서 커다란 컵에 물을 받아 초록 구슬을 넣고 자신의 머리카락을 열 개 넣는다. 몇 분 후 거품이 생기면 바로 한 번에 꿀꺽 다 마셔라. 배가 소용돌이치는 것 같고 보글보글 끓는 것 같은 느낌이 있을 것이나, 곧 굉장한 일이 일어나 이제 다시는 괴로울 일이 없을 거다. 너 괴롭잖아, 그치?"



"그런데 주의할 것. 숙모들한테는 절대로 얘기하지 말기. 그리고 이 초록 구슬을 잃어버리면, 구슬이 처음 만나는 것 - 동물, 벌레, 나무, 그게 뭐든 -한테 마법이 일어날 테니 잘 간수하고 절대로 잃어버리지 말거라."




그러나 제임스는 집에 오는 길에 넘어져 구슬을 주머니째 쏟아버리게 된다. 그리고 다음날 일어나니 마당에 엄청나게 큰 복숭아가 자라고 있었다! 숙모들은 이 신기한 물건으로 돈벌이를 하려 하지만, 우연히 복숭아 안으로 들어갔던 제임스는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게 되고, 그길로 모험을 시작하게 된다.

 

중간중간 너무 귀여운 묘사가 나와서 이모 미소를 하고 봤는데, 생각해보니 내가 너무 꼰대스러운 자세로 어린이책을 봤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좀 찔렸다. <찰리와 초콜릿 공장>이나 <마틸다>에서의 가학성은 그렇다 쳐도, 어른으로서 이렇게 깜찍한 모습만을 아이들한테 기대하는 건가 싶어서. 아이들은 아이들 나름대로 빛나는 무언가가 있는데 예쁘고 사랑스럽기만을 원했던 건 아닌가 해서.




얇은 책인데 진도는 잘 안 나갔다. 로알드 달의 이야기가 나와 안 맞네 어쩌네 하지만 재미는 있다. 벌써 네 권째 읽었고, 이제 딱 한 권 남았다. 남은 한 권은 어떤 이야기이려나.

 

86

"Oh hooray! He`s going to play for us!" they cried, and immediately the whole company sat themselves down in a circle around the old green musician - and the concert began.

-우와 신난다! 우리한테 연주를 해준대!" 모두들 소리치고는 초록색 메뚜기 옆에 둥그렇게 모여 앉았습니다. - 그리고 공연은 시작되었답니다.

127

Strong men turned to one another and said things like, "I guess this is it, Joe." and "Good-by, everybody, good-by."

건장한 남자들이 서로를 돌아보며 말했습니다. "여기까지인 것 같군, 조.", "안녕, 모두들, 안녕히."

128

And it was precisely onto the top of this needle that the peach fell! (...) And suddenly - there was the giant peach, caught and spiked upon the very pinnacle of the Empire State Building.

"그리고 정확히 그 침 위에 떨어졌어요! (...) 그러자 갑자기 복숭아가 생겼습니다. -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꼭대기의 피뢰침에 꽂힌, 아주아주 큰 복숭아가요.

130

His black eyes, as large and round as two marbles, glared down at the police men and the firemen below. Then his monstrous ugly face broke into a wide grin.

지네는 구슬만큼이나 커다랗고 새까만 두 눈으로 아래쪽에 있는 경찰관과 소방관을 바라보았습니다. 그 다음 순간 징그러운 지네의 얼굴에 커다란 미소가 번졌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남자네 집
박완서 지음 / 현대문학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박완서 선생님은 참 능수능란하다. 어쩜 이렇게 청산유수로 잘 쓰실까.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유한 필체의 글은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빠져나오기 힘든 매력이 있다. 개인적으로 책을 볼 때 책과 나 둘만 남겨지는 것 같은 느낌을 좋아하는데, 선생님의 글을 볼 때면 마치 커튼을 친 작은 공간에 있는 것 같다. 박완서라는 다홍빛 예쁜 커튼을 친 책과 나만의 공간.





책은 선생님의 자전적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박완서라는, 한국 문학의 어떤 자리를 차지한 분의 첫사랑 이야기라고는 하나 배경이 한국 전쟁 즈음에서 시작되는 것을 생각하면 짧지만 무슨 대하소설을 읽는 것 같은 느낌이다. 휴전 후 먹고살기 지지리도 힘들어 '가는 곳마다 궁기가 더덕더덕한' 남루한 그곳에서도 사랑은 피어나고, 각자의 인생의 변화와 함께 서울은 알아보기 급격하게 힘들 만큼 변해간다.





이 지구 상에 서울만큼 빠른 변화를 겪어낸 도시가 또 있을까. 서울 한복판, 내가 아는 곳에 얽힌 이야기를 읽는 것이 참 재미있었다. 할머니한테 듣는 이야기 같기도 하고. 첫사랑 이야기라지만 마냥 예쁘기만 한 이야기는 아니다. 때로는 냉소적으로 자신을 자조하는 작가님의 시선이 싫지 않은 것은, 자신과 인생에 대해 깊이 고민한 사람에게 드는 공감일 것이다. 





그러나 선생님도 돌아가셨다. 선생님이 아니면 이런 이야기를 대체 누가 쓸까. 작가님의 이야기를 읽으면, 젊었을 적 평범한 주부로 대체 어떻게 사셨을까 싶게 끼와 재능이 폭발적이다. 하긴 그러니까 많은 일을 겪고는 등단을 하셨겠지. 외국 소설도 좋지만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이야기를 읽는 것도 참 재미있다. 이제는 새로운 이야기는 볼 수 없겠지만. 선생님의 나머지 작품도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Witches (Paperback) - 『마녀를 잡아라』 원서 Roald Dahl 대표작시리즈 11
로알드 달 지음, 퀸틴 블레이크 그림 / Puffin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번째 읽은 로알드 달의 책. 그전에 읽은 <찰리와 초콜릿 공장>, <마틸다>는 명성에 비해 대체 이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뭔지 모르겠어서 당황스러웠는데 드디어 <The Witches> (한국 번역 제목 마녀를 잡아라)를 통해 어린이 독자를 대상으로 할만한 이야기를 접했다.





사실 이야기 초반까지만 해도 의심스러웠다. 여태까지 읽은 3권의 이야기 모두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데도 아이들을 싫어하는 존재들이 꼭 한 둘씩은 나온다. 이 책에서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살며 아이들을 해치는 (혹은 죽이는) 것을 업으로 삼는 '마녀'가 바로 그렇다.





이 책에 따르면, 마녀들은 머리카락이 없는 대머리라 가발을 쓰고 다니기 때문에 늘 머리를 긁고 있고, 발에는 발가락이 없는데도 늘 하이힐을 신고 다니며, 침은 파란색이라 글씨 쓸 때 잉크 삼아 쓰기도 하고, 콧구멍이 보통 사람들보다 약간 더 크고 가장자리가 분홍색으로 휘어있는데, 인간에게는 느껴지지 않는 아이들의 악취를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손은 손가락이 없고 동물의 발 같은 모양이라 늘 장갑을 끼고 다니고 눈동자의 색은 시시각각 변한다고 한다. (뭔가 과연 마녀답다) 그중에서도 영국 마녀들이 최악이라고 하는데, 작가님이 영국에 억하심정 같은 것이 있나 싶다. 주변에 혹시 이와 같은 인상착의를 한 여자들이 있는지 잘 살펴보시길.





자기들끼리 모임도 하고 하여간 아이들을 해치는 것이 이들의 주 업무인데, 할머니와 여름휴가 기간 동안 묵게 된 호텔에서 주인공이 세미나에 온 마녀들을 우연히 마주치며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중간에 주인공이 변신하는 장면에서 뭔가 친숙한 느낌이 들어 어릴 때 내가 이 책을 봤나 싶기도 한데 전체 이야기가 친숙한 듯 아닌 듯, 본 책인지 아닌지 잘 모르겠다.






여하튼 어른의 입장에서 볼 때 아이들이 읽을만한 책이라는 느낌이 든 로알드 달의 첫 작품. 할머니와 사는 주인공의 이야기가 사랑스러워 기억에 남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